구미 오리온전기의 부도사태가 협력업체 연쇄도산으로 이어질 것으로 우려되는 등 지역경제에 파장이 예상된다.
구미시는 지난 2일 김관용시장을 비롯한 지역 기관단체장이 참석한 가운데 지난달 31일 외환은행 구미지점으로 돌아온 어음을 막지 못해 최종 부도처리된 오리온전기 사태에 대한 긴급대책회의를 가졌다.
이날 회의에서는 지역 대표적인 기업인 오리온전기를 살려야 한다는 인식에는 공감하면서도 협력업체의 유동성자금난으로 인한 연쇄부도 우려에 대해서는 뚜렷한 대책을 내놓지 못했다.
오리온전기에 납품하고 있는 협력업체중 대부분은 30%미만의 부분 납품업체이지만 공단2단지에 입주해 납품을 하고 있는 G사 등 7개 업체는 생산제품의 100%를 오리온전기에 납품하고 있어 특단의 대책이 수립되지 않으면 끝내 연쇄도산의 희생물이 될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G사는 현재까지 물품납품대금 15억여원을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들 7개 업체는 종업원 546명에 매월 43억원 정도 납품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오리온전기는 근로자들의 동요와 하청업체들의 생산시설점거, 물품반출 및 집단행동 등에 대비해 자산보전신청과 정리계획안에 따른 법정관리신청을 이번주내 법원에 신청하기로 했다.
오리온전기는 1972년 구미 공단에 입주, 국내에서 처음으로 TV모니터를 생산하는 우량상장기업으로 성장, 국가와 지역경제에 기여해 왔다.
하지만 대우사태로 경영에 어려움을 겪어오다 2000년 4월 대우그룹으로부터 분리 된 뒤 2천59명의 근로자가 생산활동을 해 왔다.
그동안 꾸준히 경영개선책을 마련하며 어렵게 운영해 왔으나 지난 4, 5월에 일어난 물류대란과 사스의 영향 등으로 매출이 급감, 결국지난해부터 계속된 장기파업의 휴유증을 극복하지 못하고 좌초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