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전]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한–베 수교 33주년 기념 특별전
한국과 베트남의 우정이 ‘빛’이라는 예술의 언어로 재해석된다.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과 한–베 수교 33주년을 기념하는 특별전 ‘빛으로 잇는 우정, 북두칠성 아래의 두 나라 이야기’가 오는 12월 10일부터 12일까지 국회의원회관 3층 로비에서 개최된다. 이번 전시는 한–베의원친선협회와 주한 베트남 대사관이 공동 주최하고, 한...
[특별취재] 남원중 3학년 학생 80명 등 95명 참여… ‘제주의 아픈 역사’ 현장서 배우다
[특별취재] 남원중 3학년 학생 80명 등 95명 참여… ‘제주의 아픈 역사’ 현장서 배우다 사단법인 서귀포룸비니청소년선도봉사자회(대표 박은교)가 24일 남원중학교 3학년 학생 80명과 교사7명, 봉사자회원 8명 등 95명이 참여한 가운데 제주의 아픈 역사 바로알기 탐방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이 프로그램은 일제강점기와 제주4·3의 비극이 고...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10월 22일 오후 1시부터 5시까지 한국동물분류학회와 공동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한반도 동물 종 분포의 변화 양상'을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온라인으로 진행되며 정부, 학계 등 각 분야 전문가 12인의 강연과 함께 토론 방식으로 진행된다.
세미나는 민기식 한국동물분류학회 회장의 개회사를 시작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한반도 동물 종 분포의 변화 양상'이란 주제로 7개 주제강연 발표와 종합토론으로 이뤄진다.
7개 주제강연은 △콘스탄틴 루타엔코(Konstantin Lutaenko) 러시아국립해양생물센터 박사의 '극동아시아 쌍각류 연체동물군의 생물지리학.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변화 예측', △마리아 세실리아 파르도- 간다릴라스(Mar?a Cecilia Pardo-Gandarillas) 칠레대학교 박사의 '남동태평양 해양 무척추동물의 플라이스토세 계통지리학 ', △김성중 극지연구소 박사의 '기후변화와 극지 온난화와 증폭 그리고 중위도 이상 기상', △최세웅 목포대학교 교수의 '한반도에 육상생태계에 서식하는 나비목 곤충의 분포 변화와 미래 ', △구경아 한국환경연구원 박사의 '기후위기 대응 환경정책 대응', △황의욱 경북대학교 교수의 '기후변화에 따른 연체동물의 분포 변화와 미래', △김익수 전남대학교 교수의 '기후변화와 유전적 다양성'이다.
종합토의는 황의욱 교수가 좌장을 맡아 주제인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기후변화 대응 방안 마련'의 발표 내용을 중심으로 각계 생물분야 전문가들의 심층 토의를 진행한다.
국립생물자원관 연구진은 이번 온라인 세미나에서 제안된 내용을 바탕으로, 기후변화 대응 등 미래사회의 쟁점에 대응하기 위해 신규 연구 과제를 발굴하고 생물다양성 보전 정책에 반영할 계획이다.
박진영 국립생물자원관 생물자원연구부장은 "이번 세미나는 국내외 전문가들이 앞장서서 연구 성과를 공유하고, 생물다양성 보전을 통한 기후위기 대응 가능성에 대해 머리를 맞대고 논의하는 뜻깊은 자리이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