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이 코로나19 방역을 위한 봉쇄로 기아 위험에 빠진 북한 주민들을 위해 유엔 제재를 완화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토마스 오헤아 킨타나 보고관은 오는 22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의 유엔 총회에 제출할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고 주요 외신들이 7일 보도했다.
킨타나 보고관은 북한 당국이 코로나19 이후 국경을 폐쇄하고 국내 여행을 규제하는 등 엄격한 방역 조처를 취하면서 중국과의 국경 지대에서 상업 활동에 의존하던 많은 주민이 수입을 잃은데다 유엔 제제 충격까지 겹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로 인해 북한 주민들은 식량 확보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노약자 중 상당수가 기아 상태에 내몰렸다고 지적했다.
그는 인도주의적 위기 상황이 심각한 국면으로 전개될 수 있지만 북한 주민의 고통에 국제사회의 "무관심과 냉담함이 습관화돼" 이런 위험함이 무시되고 있다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부과한 제재는 인도적 지원과 일반 주민들의 적절한 생활 수준에 대한 권리 보장을 위해 필요한 때 재검토되고 완화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킨타나 보고관은 문재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 5월 북한의 인권 상황 개선을 위해 협력하겠다는 약속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한미 양국에 북한의 비핵화를 위한 외교를 되살리기 위해 "명확한 신호를 보낼 것"을 요구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