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국인 출입 카지노인 강원도 정선군 ㈜강원랜드의 낙하산 인사문제가 또 다시 국회 국정감사장 도마위에 올랐다.
지난 7일 산업자원부 국감에서 의원들은 강원랜드 인사문제에 대해 강도높게 추궁했다.
한나라당 손희정 국회의원은 "산업자원부 6명, 석탄산업합리화사업단 33명, 문화관광부 3명, 청와대 2명, 여당 2명 등 정부여당 출신 직원이 46명에 이르는 등 강원랜드의 낙하산 인사가 심각한 수준"이라고 질타했다.
손 의원은 특히 "현재 7명의 상임이사 가운데 사장 등 4명이 정부관련 출신자"이며 "임직원의 구속 등 강원랜드 비리가 만연하고 있는 것은 이같은 낙하산 인사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손 의원의 지적대로 강원도 폐광지역 주민들도 강원랜드 문제는 낙하산 인사 등 잘못된 인사에서 비롯되고 있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정부 주도(공공지분 51%)로 설립된 주식회사 강원랜드는 특히 인사에 있어 정부 및 여당의 입김을 외면만 할 수 없는 태생적 한계를 갖고 있다는 것이다.
강원랜드는 초대 경영진부터 산자부가 추천한 사장, 석탄산업합리화사업단 출신 전무, 정권 실세가 추천한 본부장 낙하산 인사 등으로 출발부터 그 뿌리가 깊다는 지적이다.
이같은 낙하산 경영진은 석탄산업합리화사업단 출신이 주류였던 초창기에는 실무진과의 잦은 알력으로 선임 1년만에 모두 중도 하차하는 등 강원랜드는 오점을 남겼다.
이 사건을 계기로 낙하산 인사에 대한 비판여론이 거세지자 산자부는 제2대 사장을 헤드헌터를 통해 선임했지만 전무, 관리본부장, 건설본부장, 상임감사 등 나머지 임원진에 대한 나눠먹기식 인사는 계속됐다.
특히 당시 일반주주 공모를 했던 강원랜드는 임원진 선임을 위한 주주총회 소집공시에 명시하지 않았던 상임감사 선임건을 주총에서 긴급안건으로 제안, 일반주주주들의 거센 반발속에서 통과시키는 무리수를 두기도 했다.
경영진만의 문제였던 강원랜드 낙하산 인사는 강원랜드가 스몰카지노 개장을 대비해 지난 99년말 경력사원을 대거 채용하면서 1, 2, 3급 등 간부급 직원 등으로 확산됐다.
강원랜드 일각에서도 당시 "민주당, 산자부, 사업단은 물론 힘있는 곳에서는 압력성 추천이 쇄도했고 이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제각각 조직이 끊이지 않고 벌어지고 있는 내홍의 원인이 됐다"며 낙하산 인사의 후유증을 인정한다.
연임이 내정됐던 사장이 주총을 불과 10여일 앞두고 갑자기 사퇴, 주총이 연기되는가 하면 ′비전문 정치권 인사 절대 불가′라는 주민들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정치권 인사로 빈자리가 채워졌다.
광산지역사회연구소 원기준 소장은 "정부 출신이라고, 정치권 출신이라고 모두를 무능력한 낙하산 인사로 매도하자는 것은 아니다"며 "다만 출신을 떠나 강원랜드에서 어떻게 일을 하고 있느냐가 문제"라고 지적했다.
원 소장은 "낙하산 인사로 분류되는 많은 임.직원들이 열심히 일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그동안 문제를 일으키거나 무사안일주의에 빠져 있는 일부 임.직원도 바로 낙하산 인사이라는 사실이 주민들이 낙하산 인사에 대해 거부감을 갖는 이유"라고 덧붙였다.
강원랜드 설립이후 처음으로 지난달 30일 공개채용으로 선임된 김진모 사장은 최근 임.원진과의 첫 대면에서 "간부들은 물론 임원들도 ′철밥통′이라는 생각을 버려야 할 것"이라며 강도높은 인적청산을 암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같이 국감 도마위에 또다시 오른 낙하산 인사에 대해 폐광지역 주민들은 김 사장이 석탄산업합리화사업단 출신이라는 한계를 극복하고 강원랜드의 개혁을 어떻게 이뤄낼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