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전]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한–베 수교 33주년 기념 특별전
한국과 베트남의 우정이 ‘빛’이라는 예술의 언어로 재해석된다.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과 한–베 수교 33주년을 기념하는 특별전 ‘빛으로 잇는 우정, 북두칠성 아래의 두 나라 이야기’가 오는 12월 10일부터 12일까지 국회의원회관 3층 로비에서 개최된다. 이번 전시는 한–베의원친선협회와 주한 베트남 대사관이 공동 주최하고, 한...
[특별취재] 남원중 3학년 학생 80명 등 95명 참여… ‘제주의 아픈 역사’ 현장서 배우다
[특별취재] 남원중 3학년 학생 80명 등 95명 참여… ‘제주의 아픈 역사’ 현장서 배우다 사단법인 서귀포룸비니청소년선도봉사자회(대표 박은교)가 24일 남원중학교 3학년 학생 80명과 교사7명, 봉사자회원 8명 등 95명이 참여한 가운데 제주의 아픈 역사 바로알기 탐방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이 프로그램은 일제강점기와 제주4·3의 비극이 고...
▲ [이미지 = 픽사베이]지난해와 올해 연달아 수해를 입은 북한이 국토환경 관리를 경제정책 집행에 있어서 최우선 과제로 꼽으면서 중요성을 강조하고 나섰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6일 '당의 경제정책 집행에서 제일 우선적인 중심과제' 제목의 기사에서 "국토관리 사업은 열을 투자해 백을 지키고 천을 얻는 일"이라며 "우리 국가가 빠르고도 지속적인 발전을 이룩하자면 반드시 자연의 대재앙을 극복하기 위한 철저한 대비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신문은 "막대한 인적, 물적자원을 동원해야 하는 거창한 자연개조사업으로, 모든 시·군에서 자체 힘으로 추진하고 시·군 책임 일군(간부)들이 자기 지역의 국토관리사업을 전적으로 책임"져야 한다고도 당부했다.
이처럼 북한이 국토환경 관리사업에 역점을 두는 것은 최근 몇 년간 수해로 막대한 피해를 본 경험 때문이다.
2019년에는 태풍 '링링'이 최대 쌀 생산지인 황해도를 덮치면서 농경지 4만6200여정보(약 458㎢)가 침수·매몰 피해를 보았고, 지난해에는 8월 장마와 9월 잇단 태풍으로 황해북도에서 주택 730여채가 물에 잠기고 함경도에서는 주택 1000여세대가 붕괴했다.
올해도 함경남도에 많은 비로 제방이 무너지면서 주민 5000명이 긴급대피하고 주택 1170여세대가 침수·붕괴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문은 "최근 연간 이상기후 현상은 위험도수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며 "세계적으로 재해성 기상현상이 우심해지고 있고 우리나라도 해마다 그 영향을 받고 있는 상황은 국토관리 사업의 중요성과 절박성을 더욱 부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북한은 지난해 수해를 계기로 이례적으로 식량난을 인정한 상태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지난 6월 노동당 전원회의를 열고 "지난해 태풍 피해로 알곡 생산 계획을 미달한 것으로 해 현재 인민들의 식량 형편이 긴장해지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