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출처 = JTBC 뉴스 캡처]30일 예정됐던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의 '언론중재법' 관련 TV토론이 방송 30분을 앞두고 무산됐다. 이 대표가 여당의 '언론중재법' 강행 처리에 항의해 보이콧을 선언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양측은 불발 이유를 서로에게 떠넘기며 날카로운 공방을 이어갔다.
이소영 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저녁 기자들과 만나 "오늘 양당 대표의 언론중재법 관련 '100분 토론'(MBC)은 이 대표의 일방적인 불참 통보에 의해 진행할 수 없게 됐다"고 밝혔다.
이 대변인은 "양당 대표의 TV토론회 출연은 단순히 여야 간 약속이 아니라 방송사 간 약속이고 곧 국민과 시청자에 대한 약속이다. 법안 상정 여부와 연계해서 국민과의 약속을 파기하고 불참한 것은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며 이 대표에게 책임을 돌렸다.
그러면서 "언론중재법에 대해 이견이 있다면 오히려 이걸 국민 앞에서 문제점을 설명하고 설득할 수 있고 국민 입장에서도 쟁점을 자세히 알 수 있는 기회가 됐을텐데 방송 30분 전 취소된 것이 매우 유감"이라고 전했다.
이에 국민의힘 측은 "토론회 자체가 무의미했다"는 입장을 내보였다.
허은아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금일 '100분토론' 여야 대표 출연 불발은 이 대표의 일방적 불참통보가 아니라 민주당의 일방적 입법 강행 때문"이라고 반박했다.
허 수석대변인은 "여야 대표의 출연은 공개토론을 통해 사회적 대타협을 이루자는 취지였으나, 언론재갈법에 대한 민주당의 입법 강행과 독주로 인해 무산됐다"며 "'100분토론' 관계자와는 국회 상황과 관련해 지속적으로 소통했다. 추후 적절한 시점에 여야 협의를 통해 대표 간 TV토론은 언제든 응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앞서 이 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서 진행된 당 긴급현안보고에서 "(송 대표와의) 토론이 성립될 수 있는 전제조건은 민주당이 불합리한 방법으로 (언론중재법) 입법을 강행처리 하지 않는다는 확신이 있을 때"라며 "대화하겠다, 또는 토론하겠다며 한쪽에서는 입법처리 강행을 준비하고 있다면 진정성 있는 태도가 아닐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이어 "토론이 무산된다면 그 책임은 전적으로 민주당과 문재인 정부에 귀속되도록 국민께 알리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MBC는 이날 100분 토론 대신 '선을 넘는 녀석들'을 긴급 대체 편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