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 교육청-동구비정규직노동자지원센터 청소년 노동인권보호 업무협약 체결
비정규직노동지원센터[뉴스21일간=임정훈]울산시 교육청과 울산동구비정규직노동자지원센터는 11월 12일 오후 2시, 울산시 교육청에서 천창수 교육감이 참석한 가운데 청소년 노동 인권 보호와 노동 침해 예방을 위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업무협약에는 울산동구비정규직노동자지원센터를 포함한 울산북구비정규직노동자지원센...
▲ [사진출처 = 윤석열 전 검찰총장 페이스북]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부정식품·페니미즘'에 이어 이번에는 '후쿠시마 방사능' 관련 실언으로 구설수에 올랐다.
윤 전 총장은 지난 4일 부산일보 인터뷰에서 부울경(부산·울산·경남)은 세계적으로 원전 최대 밀집지역이고 원전 확대에 대한 우려가 있다”는 기자의 질문에 “우리나라에 들어오는 원전이 체르노빌하고 다르다. 일본에서도 후쿠시마 원전이 폭발한 것은 아니다. 지진하고 해일이 있었서 피해가 컸지만 원전 자체가 붕괴된 것은 아니다. 그러니까 방사능 유출은 기본적으로 안 됐다”고 답했다.
윤 전 총장의 발언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상에서 논란이 일었고, 전문가들의 비판도 이어졌다. 석광훈 에너지전환포럼 전문위원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는 원전 내부 노심이 용융되고 수소 폭발로 지붕이 날라갔는데 붕괴되지 않았다니 무슨 말인가. 방사능 유출 사실은 국제원자력기구(IAEA)와 일본 정부도 인정하고 있다”며 윤 전 총장 발언이 사실과 다르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국제원자력기구는 지난 2011년 3월 지진과 해일에 건물이 손상된 후쿠시마 원전은 기능이 마비되며 세슘 137과 스트론튬 90 등 대규모 방사능물질 유출됐다고 봤다. 그러면서 체르노빌 원전 사고에 이어 사상 두 번째로 후쿠시마 원전 사고에 국제원자력사고등급(INES) 최고등급인 7단계를 매겼다.
그러니 윤 전 총장 발언은 전문가들의 입장과는 확연히 다르고, 사실도 아닌 셈이다.
윤 전 총장 인터뷰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논란이 일자 관련 발언은 기사가 온라인에 게재된 후 4시간30분 만에 삭제됐다.
윤 전 총장 측 관계자는 이날 기자와 통화화면서 “원전 자체의 문제가 아니었다는 점을 이야기하다보니 나온 발언”이라며 “지진·해일이 없었다면 방사능 유출도 없었다는 뜻인데, 축약되면서 오해가 생겼다”고 해명했다.
윤 전 총장이 잇따른 실언으로 논란을 일으키자 야권에서도 비난의 목소리가 나온다.
국민의힘 대선 주자인 유승민 전 의원은 이날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우리에게 영향이 오는 문제에 대해 가벼운 이야기를 한 게 아닌가”라면서 “후쿠시마 원전에서 나오는 방출수, 방사능에 오염된 물을 대량으로 태평양에 방류하는 문제를 많은 국민이 우려하고 있으니 이에 대한 발언은 조심하는 게 맞지 않았나”고 했다.
부산일보는 발언 삭제 경위에 대해서는 윤 전 총장 캠프 측에서 “발언 내용을 취소하는 기사 수정을 요청했다”고 했다.
부산일보는 “인터뷰 취지가 현안에 대한 후보의 정확한 입장을 전달하는 것이고, 타 인터뷰에서도 사후 정정 요구가 기사 전체 맥락을 해치지 않은 선에서는 이를 수용해왔다는 점에 비춰 해당 요구를 받아들였다”고 설명했다.
앞서 윤 전 총장은 지난달 6일 대전 방문 때도 원전 관련 발언으로 구설에 올랐다. 당시 윤 전 총장은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카이스트 원자력 전공생들을 만나 “후쿠시마 사고라는 것도 사실 일본의 지반에 관한 문제이지, 원전 그 자체의 문제는 아니다”고 말했다. 일본 정부의 오염수 방출에 대해서도 “정치적 차원에서 볼 문제가 아니다”고 발언해 비판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