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한미 미사일 지침 종료 등과 관련해 한국과 미국을 거세게 비판한 것을 두고 미국은 "북한과 외교에 열려있다"는 점을 거듭 강조했다.
국무부 대변인은 31일(현지시간) 북한 논평에 대한 입장을 묻는 미국의 소리(VOA)의 질문에 "북한 매체에 실린 논평에 대해 알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대변인은 "북한에 대한 우리의 정책은 미국과 우리의 동맹, (해외 주둔) 미군 병력의 안보를 강화하는 실질적인 진전을 이루기 위해 북한과의 외교에 열려 있고 외교를 모색하는 잘 조율되고 실용적인 접근을 요구한다"고 말했다.
앞서 북한은 관영 조선중앙통신에 실린 개인 명의의 논평을 통해 "많은 나라들이 바이든 행정부가 고안해 낸 '실용적 접근법'이니 '최대 유연성'이니 하는 대북정책 기조들이 한갓 권모술수에 불과하다고 느끼고 있다"고 주장했다.
북한은 이 논평에서 바이든 대통령과 문재인 한국 대통령이 정상회담 뒤 한미 미사일 지침 종료를 발표한 데 대해서도 비난했다. "고의적인 적대행위"이자 "미국의 대북 적대시 정책의 집중적인 표현"이라는 주장이다.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대변인실 관계자는 VOA에 바이든 대통령과 문재인 대통령이 최근 정상회담 후 발표한 한미 공동성명에 명시됐듯이 "한국은 미국과의 협의를 거쳐 개정 미사일 지침의 종료를 발표하고, 양국 대통령은 이 결정을 인정했다"고 밝혔다.
한미 미사일 지침 종료에 따라 한국군은 사거리가 800km 이상인 미사일을 개발, 소지할 수 있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