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전]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한–베 수교 33주년 기념 특별전
한국과 베트남의 우정이 ‘빛’이라는 예술의 언어로 재해석된다.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과 한–베 수교 33주년을 기념하는 특별전 ‘빛으로 잇는 우정, 북두칠성 아래의 두 나라 이야기’가 오는 12월 10일부터 12일까지 국회의원회관 3층 로비에서 개최된다. 이번 전시는 한–베의원친선협회와 주한 베트남 대사관이 공동 주최하고, 한...
학생, 상담자 부문 우수상 동시 수상…학생 맞춤형 심리 정서 지원 효과 확인
[뉴스21일간=이준수 기자] 울산광역시교육청(교육감 천창수)은‘제14회 위 프로그램 사업(프로젝트) 우수사례 공모전’에서 울산지역 학생과 상담자가 여러 부문에서 수상하며 상담 지원 체계에서 우수한 성과를 거뒀다. 21일 경기도 광명 테이크호텔에서 열린 이번 공모전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주관하고 교육부와 전국 시도교육...
▲ [사진제공 = 서울대학교 공과대학]서울대 공대 임영섭 교수가 노르웨이 과학산업기술연구재단 등과 함께 선박의 온실가스 배출량 저감을 위한 이산화탄소 포집 방법론 연구에 착수한다.
서울대학교 공과대학(학장 차국헌)은 조선해양공학과 임영섭 교수가 최적의 선박 배출 이산화탄소 포집 방법론을 찾기 위해 국제 공동 연구 프로젝트 CCShip(CCS for ships, 선박 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프로젝트)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파리기후변화협약에 따라 IMO(국제해사기구)는 선박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저감하는 규제를 단계별로 강화하고 있으며, 이는 전 세계 선박 업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현재 수소 등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대안 연료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상용화까지 오랜 시간이 필요하며 경제적 타당성 연구가 이어져야 하므로 수십 년 이상 운행해야 할 현존 선박을 위한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 방법은 부족한 상황이다.
임영섭 교수는 “화력발전소와 같은 대량 온실가스 발생원을 대상으로 연구돼 온 CCUS(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 이산화탄소 포집, 전환 및 저장) 기술을 선박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며 “CCShip 프로젝트는 다양한 요소에 따른 기술 경제성을 고려해 선박에 따른 최적의 이산화탄소 포집 방법론을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는 2021년 4월부터 4년간 수행 예정으로 국제 연구팀은 WP1) 선박적용 특성 연구, WP2)흡수포집법 적용 연구, WP3) 차세대 포집법 적용 연구, WP4) 대안 연료 비교 분석, WP5) 총괄 관리의 5개 그룹으로 구성된다. 임영섭 교수는 선박 적용 특성(WP1) 및 차세대 포집법 적용(WP3)에 대한 연구에 참여할 예정이며 공동연구를 위해 서울대-NTNU(노르웨이 국립과학기술대학)간 대학원생 교환 파견이 예정돼 있다. 최종적으로는 무게, 크기, 효율, 비용 등 기술 경제성을 고려해 선박에 적용 가능한 최적의 이산화탄소 포집 방법론을 연구, 다양한 선종, 연료 유형, 항해 거리, 신조/개조에 따라 도입이 가능한 기술 검토·개발이 목표다.
이 프로젝트는 노르웨이 과학산업기술연구재단(SINTEF Energy Research, SINTEF Ocean), 노르웨이과학기술대학교(NTNU), 조선해양기자재 업체 바르질라(Wärtsilä Moss), 칼릭스(Calix), 노르웨이 해운사 클라브니스(Klaveness) 등의 산학연 기관이 공동 참여하며, 노르웨이 CCS센터 및 노르웨이 연구회 해양 활동 혁신 프로그램(NRC MAROFF project no. 320260)의 재정 지원을 받아 진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