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전]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한–베 수교 33주년 기념 특별전
한국과 베트남의 우정이 ‘빛’이라는 예술의 언어로 재해석된다.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과 한–베 수교 33주년을 기념하는 특별전 ‘빛으로 잇는 우정, 북두칠성 아래의 두 나라 이야기’가 오는 12월 10일부터 12일까지 국회의원회관 3층 로비에서 개최된다. 이번 전시는 한–베의원친선협회와 주한 베트남 대사관이 공동 주최하고, 한...
[특별취재] 남원중 3학년 학생 80명 등 95명 참여… ‘제주의 아픈 역사’ 현장서 배우다
[특별취재] 남원중 3학년 학생 80명 등 95명 참여… ‘제주의 아픈 역사’ 현장서 배우다 사단법인 서귀포룸비니청소년선도봉사자회(대표 박은교)가 24일 남원중학교 3학년 학생 80명과 교사7명, 봉사자회원 8명 등 95명이 참여한 가운데 제주의 아픈 역사 바로알기 탐방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이 프로그램은 일제강점기와 제주4·3의 비극이 고...
▲ [사진출처 = YTN 뉴스 캡처]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이 미국 정부의 새 대북정책에 냉소적인 반응만 보이는 북한에게 외교의 장에 나올 것을 촉구했다.
3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영국에서 개막한 주요7개국(G7) 외교·개발 장관 회의에 참석중인 블링컨 장관은 이날 화상 기자회견에서 북한 관련된 질문에 대해 미국의 새로운 대북정책 검토 완료와 관련해 북한이 관여할지 결정하는 것은 북한에 달려 있다고 밝혔다.
블링컨 장관은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목표로 미국과 동맹, 주둔 군대의 안전에 대한 실질적 진전을 위해 북한과 외교를 모색하려는 것이 미국정부의 새로운 대북정책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북한이 외교적으로 관여할 기회를 잡기를 희망한다"며 "우리는 다가올 수일, 그리고 수개월 간 북한이 말하는 것뿐만 아니라 실제로 행동하는 것까지 지켜보려고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우리는 외교에 초점을 맞춘 매우 명쾌한 정책을 갖고 있다고 생각한다. 북한이 이러한 기초 위에서 관여하기를 희망하는지 결정하는 것은 북한에 달렸다고 생각한다"고 말해 북한의 대화 복귀를 촉구했다.
앞서 북한은 지난 30일 미국 정부의 대북정책의 기조가 공개되자 반감을 드러내며 "매우 심각한 상황에 직면하게 될 것", "부득불 상응한 조치들을 강구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라고 도발 가능성까지 암시했다.
그러자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도 전날 미국 언론 인터뷰에서 미국의 대북정책은 적대가 아닌 해결을 목표로 한 것이라며 북한을 다독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