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전]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한–베 수교 33주년 기념 특별전
한국과 베트남의 우정이 ‘빛’이라는 예술의 언어로 재해석된다.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과 한–베 수교 33주년을 기념하는 특별전 ‘빛으로 잇는 우정, 북두칠성 아래의 두 나라 이야기’가 오는 12월 10일부터 12일까지 국회의원회관 3층 로비에서 개최된다. 이번 전시는 한–베의원친선협회와 주한 베트남 대사관이 공동 주최하고, 한...
[특별취재] 남원중 3학년 학생 80명 등 95명 참여… ‘제주의 아픈 역사’ 현장서 배우다
[특별취재] 남원중 3학년 학생 80명 등 95명 참여… ‘제주의 아픈 역사’ 현장서 배우다 사단법인 서귀포룸비니청소년선도봉사자회(대표 박은교)가 24일 남원중학교 3학년 학생 80명과 교사7명, 봉사자회원 8명 등 95명이 참여한 가운데 제주의 아픈 역사 바로알기 탐방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이 프로그램은 일제강점기와 제주4·3의 비극이 고...
▲ [SHUUD.mn=뉴스21 통신.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북한통’인 성 김 인도네시아 주재 미국대사가 조 바이든 행정부의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차관보 대행에 임명되며 미국의 동아시아 외교 책임자가 됐다.
21일(현지시간) 미 국무부가 바이든 행정부의 출범과 함께 새로 업데이트한 동아시아태평양국(Bureau of EAP) 홈페이지에는 ‘고위 당국자’로 성 김 대사의 이름이 올라있다.
김 대사는 토니 블링컨 국무장관ㆍ웬디 셔먼 부장관 지명자 등의 상원 인준 절차가 끝난 뒤 인준청문회를 거쳐 정식 임명될 것으로 보인다.
김 대사는 동아태국을 책임지는 동아태 차관보에 임명될 가능성이 높다. 동아태 차관보는 국무부에서 중국과 한국, 일본 실무를 책임지는 가장 높은 자리다.
서울에서 태어난 그는 중학교 1학년 때인 1973년 미국으로 이민을 가 펜실베이니아대 등을 졸업했고, 검사를 거쳐 직업 외교관이 됐다.
김 대사는 2006년 국무부 한국과장을 거쳐 2008년 6자회담 수석대표 겸 대북특사로 발탁됐다. 그는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 재임 시기인 2011년 한국계로는 처음으로 주한미국대사에 지명됐다. 2014년 마크 리퍼트 대사에게 자리를 넘겨준 뒤에는 국무부 동아태국 부차관보로 복귀했다.
이후 필리핀 대사로 자리를 옮겼지만 북한 업무에는 이후에도 깊이 관여해왔다. 2018년 6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간의 첫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북한과의 사전 실무협상에 나선 것이 대표적이다.
그는 최선희 북한 외무성 부상과 판문점과 싱가포르에서 수차례 협상을 이어가며 마지막까지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핵 폐기(CVID)’를 둘러싼 샅바싸움을 벌였다.
김 대사는 22일(현지시간) 워싱턴에 도착해 국무부 내부 회의에 참석할 것으로 알려졌다.
김 대사는 이 역할과 함께 백악관 아시아 정책 '차르'로 임명된 커트 캠벨 전 동아태차관보, 부장관으로 지명된 웬디 셔먼 전 대북정책조정관 등과 호흡을 맞춰 바이든 행정부 북핵 협상에도 관여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