ㅇ 김포시(시장 정하영)가 김포골드라인 열차운행 장애와 관련하여 시민들께 불편을 끼쳐드린 점에 대하여 깊이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ㅇ 앞서 21일 오후 6시 32분 김포공항역을 출발하여 고촌역으로 이동 중인 김포골드라인 차량에서 장애가 발생해 비상정지하며 열차 운행에 차질이 빚어졌다.
ㅇ 운영사인 김포골드라인운영(주)는 사고열차를 차량기지로 이동조치한 뒤 현재 정확한 사고원인을 조사 중이다.
ㅇ 장애열차는 사고 당시 열차안전원이 탑승하지 않은 차량으로 후속열차에 탑승한 열차안전원이 현장에 투입되어 장애열차에 대한 초동 조치를 실시하였으나 장애 조치가 해결되지 않아 불가피하게 승객 대피를 실시하고, 운영종사자의 현장조치 후 당일 밤 9시 50분경 전 구간 정상운행이 재개되었다.
ㅇ 시와 김포골드라인운영(주)는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한 어려가지 문제점을 교훈삼아 추후 동일 사고 발생하지 않도록 승객 안전 및 유지관리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며 사고 시 처리 대책도 재점검할 예정이다.
ㅇ 열차장애 원인은 차량의 열차종합제어장치(TCMS)의 컴퓨터 오류로 추정된다. 일부 언론에서 보도된 화재감지기 오동작은 사실이 아닌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또한 철도안전 관련 감독기관과 합동점검을 통해 철저한 원인규명 및 추후 사고 발생방지 대책 등 수립을 통해 동종사고가 반복되지 않도록 할 계획이다.
ㅇ 장애 발생 후 승객 안내방송이 미흡했다. 사고 발생 후 김포골드라인 종합관제실에서는 모든 열차와 역사에 열차 지연 안내방송을 실시하였으나 장애 차량의 승객안내 방송은 차량의 전원공급이 되지 않아 송출이 불가능했다. 앞으로 전원공급이 불가하여도 안내방송이 가능하도록 기술적 검토를 거쳐 개선하기로 했다.
ㅇ 해당 장애 열차에는 열차안전원이 탑승하고 있지 않았다. 코로나19 2.5단계 상향 이후 김포골드라인운영(주)는 철도 종사자로 인한 감염병 확산에 대비하여 대비 인력 확보차원에서 모든 열차에 탑승했던 열차안전원을 격번제로 탑승시켜 운영해 왔다. 이번 사고 등 이례사항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위해 열차안전원 운영계획에 대하여 재검토할 예정이다.
ㅇ 김포골드라인운영(주)는 비상시 대응 매뉴얼을 현실적으로 정비하고 유관기관과 유기적인 협조체계를 구축하여 동종사고 발생 시 체계적이고 신속한 조치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기로 했다.
ㅇ 정하영 시장은 “시민 여러분과 이용객들께 불편을 드린 점에 대해 깊이 사과드린다”며 “이번 사고를 교훈삼아 안전하고 편리한 김포도시철도가 될 수 있도록 운영사와 함께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