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전]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한–베 수교 33주년 기념 특별전
한국과 베트남의 우정이 ‘빛’이라는 예술의 언어로 재해석된다.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과 한–베 수교 33주년을 기념하는 특별전 ‘빛으로 잇는 우정, 북두칠성 아래의 두 나라 이야기’가 오는 12월 10일부터 12일까지 국회의원회관 3층 로비에서 개최된다. 이번 전시는 한–베의원친선협회와 주한 베트남 대사관이 공동 주최하고, 한...
[특별취재] 남원중 3학년 학생 80명 등 95명 참여… ‘제주의 아픈 역사’ 현장서 배우다
[특별취재] 남원중 3학년 학생 80명 등 95명 참여… ‘제주의 아픈 역사’ 현장서 배우다 사단법인 서귀포룸비니청소년선도봉사자회(대표 박은교)가 24일 남원중학교 3학년 학생 80명과 교사7명, 봉사자회원 8명 등 95명이 참여한 가운데 제주의 아픈 역사 바로알기 탐방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이 프로그램은 일제강점기와 제주4·3의 비극이 고...
▲ [이미지출처 = 트위터 캡처]북한 당국이나 단체가 아닌 주민 개인 명의의 트위터 계정이 등장했다. 실제 북한 주민이 직접 운영하는 계정인지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북한 체제 선전과 일상적인 내용이 올라온다.
13일 자신을 김명일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부장, 한성일 조국통일연구원 실장이라고 소개한 트위터 계정 2개가 확인됐다.
이들 계정은 모두 지난달 개설돼 1∼2일 간격으로 북한 체제를 선전하는 글 수십 건을 게재했다. 남한 뿐 아니라 해외 각국의 이용자를 의식한 듯 같은 내용의 트윗을 영어나 중국어로 올리기도 했다.
한 실장 명의의 트위터에는 "조선(북한)에서 일어나는 희소식과 북남관계 소식들을 전하고 우리 민족의 문화와 역사 등 여러가지 상식을 친절히 전해드리며 앞으로 수많은 인터넷 사용자들과의 원활하고 적극적이며 다방면적인 소통을 기대한다"며 계정 개설 배경을 밝혔다.
그가 올린 글 내용은 대부분 기존 대외선전매체와 크게 다르지 않은 북한 선전과 남측 보수세력 비판, 80일 전투 독려 등이 주를 이뤘지만 최근 들어 일상적인 내용도 등장했다.
김 부장 명의의 트위터에는 "얼마 전 금연법이 채택됐다"며 "그래도 한다 하는 애연가였다. 하지만 나 자신을 위해서도, 깨끗한 환경을 위해서도 몹시 힘들겠지만, 담배를 끊을 결심"이라는 트윗이 올라왔다.
이날 오후에는 김장 사진과 함께 "건강에도 좋고 맛도 좋은 우리의 김치를 생각하니 벌써 군침이 스르르 돈다"고 글을 쓰기도 했다.
실제로 북한 주민이 계정을 직접 운영하는지는 확인되지 않았지만, 이처럼 단체가 아닌 개인 명의 계정이 확인된 것은 이례적이라 시선을 끈다.
북한은 최근 들어 트위터와 유튜브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계정을 개설해 내부 모습을 활발히 선전하고 있다.
현재 트위터에는 '통일의 메아리'나 '우리민족끼리' 등 북한 단체가 운영하는 계정이 있지만, 개인 계정과 일상적인 표현을 사용해 더 친숙하게 선전에 나서려는 것으로 풀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