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드론순찰대, ‘나눔:ON 페스타’서 시민과 함께 드론 안전 체험 부스 운영
(뉴스21일간/노유림기자)=울산드론순찰대(대장 임용근)가 지난 2025년 11월 7일 울산문화공원에서 열린 『프로젝트 나눔:ON 페스타』에 참여하여 시민들을 위한 드론 안전 체험 부스를 성공적으로 운영했습니다. 울산광역시자원봉사센터가 주최한 ‘따뜻한 나눔이 켜지는 순간’ 주제의 『프로젝트 나눔:ON 페스타』 참여 , "하늘에서 지...
▲ [사진출처 = YTN 뉴스 캡처]옛 소비에트 연방의 구성국이자 역사적으로 기나긴 갈등 관계인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의 무력 충돌로 23명이 사망하고 100여명이 부상했다. 양측은 서로 상대측이 '선공' 했다고 주장하고 있어, 전면전 기운이 감돌고 있다.
27일(현지시간) BBC에 따르며 아르메니아와 아제르바이잔의 분쟁지역인 '나고르노-카라바흐'에서 무력충돌이 발생해 민간인과 군인 등 최소 23명이 목숨을 잃었다.
양측은 이번 충돌 원인을 두고 서로 상대방 탓을 하고 있다.
니콜 파쉬냔 아르메니아 총리는 "아제르바이잔군이 민간인 정착촌에 공격을 가했다"며 "아제르바이잔의 권위주의 정권이 다시 한번 아르메니아 국민에게 전쟁을 선포했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전면전을 눈앞에 두고 있다"며 "우리의 신성한 조국을 지킬 준비를 하라"고 강조했다.
반면, 아제르바이잔 국방부는 아르메니아 측이 먼저 도발 행위를 벌였다고 주장했다. 일함 알리예프 아제르바이잔 대통령도 "우리의 명분은 정의롭고 우리는 승리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제르바이잔은 이날 계엄령을 선포하고 수도 바쿠를 포함한 대도시에 통행금지령을 내렸다.
나고르노-카라바흐를 통치하는 아르차흐 공화국 역시 계엄령을 선포하고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총동원령을 내렸다.
이처럼 양측이 서로에게 보복을 다짐하며 전면전도 불사하겠다는 태도를 보이자 국제사회는 자제를 촉구하고 나섰다.
유럽연합(EU)과 프랑스·독일은 `즉시 휴전`을 촉구했다. 이란은 양측의 대화를 중재하고 나섰다.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파쉬냔 아르메니아 총리에게 적대행위 중단을 요구했다. 크렘린궁은 성명을 내고 "러시아는 대규모 충돌이 다시 일어나는 것을 크게 우려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이와 달리 터키는 같은 튀르크계 국가인 아제르바이잔에 지원 의사를 밝혔다.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터키 대통령은 트위터를 통해 "터키 국민은 언제나처럼 모든 수단을 동원해 아제르바이잔의 형제들을 도울 것"이라고 밝혔다.
이곳 분쟁의 원인을 종교와 민족을 고려하지 않고 그어진 국경선에서 비롯됐다. 기독교 국가인 아르메니아와 이슬람권인 아제르바이잔 사이에 위치한 나고르노-카라바흐 지역은 아제르바이잔 영토에 속하지만 아르메니아가 실효지배중인 영토 분쟁 지역이다.
러시아의 사회주의 혁명 물결이 주변 지역으로 번져가던 1920년 아르메니아·아제르바이잔 등이 속한 캅카스(코카서스) 지역이 옛 소련에 편입된 후 나고르노-카라바흐 지역은 아르메니아공화국으로 귀속됐으나, 이후 이오시프 스탈린 소련 공산당 서기장의 행정 편의주의에 따라 1924년 아제르바이잔 영토 내 자치지역으로 변경됐다.
20%에 불과한 나고르노-카라바흐의 무슬림 아제르바이잔인들이 약 80%에 달하는 기독교인 아르메니아인들을 통제하기 시작하면서 갈등이 시작됐다.
1988년 나고르노-카라바흐 자치주가 아르메니아로의 귀속을 선언했고, 1989년에는 아르메니아가 이 지역을 병합하기로 결정했다. 아르메니아계 주민들은 1991년 `나고르노-카라바흐 독립공화국`을 선포했다.
하지만 아제르바이잔이 이를 승인하지 않으면서 양측 간에 무력 충돌이 일어나기도 했다. 1992년 러시아군이 아제르바이잔에서 철수하자 아르메니아는 이 지역에서 대규모 군사 공격을 가했다.
1994년 휴전이 성립되기까지 약 3만명이 숨지고 100만 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유혈 사태는 1994년 5월 러시아와 독립국가연합(CIS·옛 소련권 국가 모임) 의원 총회의 중재로 키르기스스탄 수도 비슈케크에서 열린 협상에서 휴전이 성립되면서 일단 중단됐다.
그 이후 아제르바이잔은 나고르노-카라바흐 지역에 대한 통제권을 잃었다. 아르메니아가 실효지배하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