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오늘(9일) 12시부터 노동당 본부청사와 청와대와의 직통 통신(핫라인)을 포함해 남북을 잇는 모든 통신선을 완전 차단·폐기하겠다고 밝혔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동생인 김여정 당 제1부부장이 지난 4일 탈북민단체의 대북전단 살포와 이에 대한 우리 정부의 대응을 비판한 담화를 낸 지 닷새만이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2020년 6월 9일 12시부터 북남 공동연락사무소를 통하여 유지하여 오던 북남 당국 사이의 통신연락선, 북남 군부 사이의 동·서해 통신연락선, 북남 통신시험연락선, 조선노동당 중앙위원회 본부청사와 청와대 사이의 직통 통신연락선을 완전 차단, 폐기하게 된다"라고 보도했다.
통신은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과 김여정 당 제1부부장이 전날 열린 대남사업 부서 사업총화 회의에서 "대남사업을 철저히 대적사업으로 전환해야 한다"라며 이렇게 지시했다고 전했다.
통신은 탈북민과 우리 당국을 '배신자', '쓰레기' 등으로 강하게 비난하며 "저지른 죗값을 정확히 계산하기 위한 단계별 대적사업 계획들을 심의하고 우선 먼저 북남(남북) 사이의 모든 통신연락선들을 완전 차단해 버릴 데 대한 지시를 내렸다"고 했다.
이어 "남조선 당국과 더이상 마주앉을 일도, 논의할 문제도 없다는 결론에 도달했다"면서 (통신연락선 차단·폐기는) "남조선 것들과의 일체 접촉공간을 완전격폐하고 불필요한 것들을 없애버리기로 결심한 첫 단계 행동"이라고 말했다. 이는 앞으로 추가 조치를 할 수도 있단 뜻으로 풀이된다.
통신은 "다른 문제도 아닌 그 문제에서만은 용서나 기회란 있을 수 없다"며 "반드시 그 대가를 치르게 해주어야 한다. 우리는 최고존엄만은 그 무엇과도 바꿀수 없으며 목숨을 내대고 사수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여기서 '그 문제'는 북한 측에서 지속적으로 비난한 '대북전단' 살포를 뜻한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지난 4일 김여정의 담화에 이어 지난 5일 통일전선부 대변인 담화를 내고 탈북민 대북전단 살포와 이에 대한 남한 당국의 대응을 비판하면서 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폐쇄 등을 언급했다. 북측은 지난 8일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통한 남측의 연락 시도에 오전에는 받지 않았지만 오후에는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