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미지 = 픽사베이]미국이 쿠바를 테러지원국으로 다시 지정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이 1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익명의 미 정부 고위 관계자는 로이터에 "사회주의자 니콜라스 마두로 베네수엘라 정부에 대한 지원을 계속하고 (역시 사회주의 성향인) 콜롬비아 반군인 민족해방군(ELN) 지도자들에게 피난처를 제공하는 것은 쿠바가 미국의 블랙리스트(테러지원국 명단)에 다시 올려져야 한다는 '설득력 있는 사례(convincing case)'"라고 말했다.
통신은 이 관계자가 쿠바 테러지원국 재지정 관련 결정이 연내 이뤄질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았다고 부연했다.
쿠바는 미 정부가 마약과 인권 범죄 등을 이유로 압박하는 마두로 정권의 우군 역할을 하고 있다. 쿠바 정부는 또 2019년 콜롬비아 경찰학교 폭탄테러를 저지르고 쿠바로 도피한 ELN 지도자들에 대한 콜롬비아의 인도 요청을 거부해왔다.
현재 미국 국무부의 테러지원국 목록에는 북한(2017)과 이란(1984), 수단(1993), 시리아(1979) 등 4개국이 올라와 있다. 테러지원국으로 지정되면 무기수출과 대외원조 제한, 무기와 이중요도 용품 수출 금지, 금융 규제 등의 제재를 받게 된다. 이들과 거래한 국가와 개인도 불이익을 받게 된다.
쿠바의 경우 1982년 3월에 남미 내란을 지원한다는 이유로 테러지원국으로 지정됐다가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 시절인 지난 2015년 33년 만에 명명단에서 삭제됐다.
그러나 미국은 도널드 트럼프 정권이 들어서면서 쿠바에 대한 제재를 강화했고, 쿠바와의 관계도 오바마 이전으로 되돌려놨다.
국무부는 전날 쿠바를 5년 만에 다시 '대테러 비협력국'으로 지정했는데, 로이터통신은 이것이 테러지원국 재지정을 위한 "예비적 단계"일 수도 있다고 표현했다.
브루노 로드리게스 쿠바 외교장관은 전날 트위터에 "미국은 쿠바를 엉터리 대테러 비협력국 목록에 넣었지만, 4월 30일 미국 쿠바대사관에 대한 테러 공격은 막지도 비난하지도 않았다"고 반발했다.
쿠바 출신의 42세 남성이 워싱턴 쿠바대사관 건물에 32발을 총을 발사한 당시 사건을 두고, 쿠바는 미국 정부가 쿠바를 향한 적대적인 언사로 테러를 선동했다고 비난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