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19일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자영업자를 대상으로 한 50조원 규모의 민생금융안정 패키지 프로그램을 의결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홍남기 경제부총리와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박영선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청와대에서 제1차 비상경제회의를 열고 "서민경제의 근간이 되는 중소기업·소상공인·자영업자의 도산 위험을 막고 금융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첫 번째 조치로 50조원 규모 특단의 비상금융조치를 결정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는 필요한 대책의 일부일 뿐”이라며 “상황 전개에 따라 필요하다면 더 규모를 늘려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소상공인 긴급경영자금 신규지원을 12조원 규모로 확대하고, 5. 5조원 규모의 특례보증 지원도 시행한다”고 말했다.
자금 지원 이외에도 △대출 원금 만기 연장을 모든 금융권으로 확대 시행 △전 금융권에서 중소기업, 소상공인 대출 이자 납부 유예 △3조원 규모의 영세 소상공인 전액 보증 프로그램 신설 등도 발표했다.
문 대통령은 "금융 지원이 적극적으로 이뤄지려면 적극행정 면책처럼 정책금융기관과 민간금융회사의 금융 지원 노력을 격려하고 뒷받침해야 한다"며 신속하고 긴급한 자금 지원을 위한 금융당국의 세심한 점검을 지시했다.
이어 “아무리 좋은 대책도 현장에서 제대로 작동해야 의미가 있다. 국민의 삶이 무너지는 것을 막는 것이 최우선"이라며 신속한 코로나19로 인한 실업이나 생계 위협 대책도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코로나 19로 인해 수입을 잃거나 일자리 잃은 사람들을 위한 지원 대책도 고민해야 한다”며 “국민의 삶이 무너지는 것을 막는 것이 최우선이다. 조속한 시일 내에 실효성 있는 취약계층 지원 방안이 논의될 수 있도록 준비해주길 바란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