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 말 임대아파트에서 숨진 채 발견됐던 탈북민 한성옥(42)씨 모자를 추모하기 위한 분향소가 26일 수도권 6곳에 설치됐다.
한씨 모자의 장례절차가 진행된 것은 이들이 숨진 채 발견된 지 약 4개월 만이다. 이날 오전 문을 연 분향소에는 장례 소식을 접한 지역 주민과 탈북민 등이 찾아와 두 모자의 안타까운 삶을 위로했다.
김연철 통일부 장관도 이날 오후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전체회의가 끝난 뒤 곧바로 이곳으로 이동해 조문했다.
2009년 하나원을 수료한 탈북민 한씨와 아들 김모(6)군은 지난 7월 서울 관악구 봉천동의 한 임대아파트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냉장고가 비어 있는 등 집안에 식료품이 전혀 없었고 두 사람이 이미 두 달 전쯤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는 점 때문에 아사 가능성도 제기됐다.
이들의 안타까운 죽음은 남한 사회에 제대로 정착하지 못하고 복지 사각 지대에 놓인 탈북민들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정부도 이를 계기로 취약세대 전수조사, 사회보장 시스템 강화 등을 골자로 한 탈북민 관련 종합대책을 발표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들 모자의 사인 규명과 후속 대응책 등을 둘러싼 탈북민단체 관계자들로 구성된 비상대책위원회와 정부의 이견으로 장례식은 여러 차례 미뤄져 왔다.
그러던 지난 25일 통일부 산하 탈북민 지원기관인 남북하나재단은 “인도적 차원에서도 더는 고인의 영면을 늦출 수 없다”며 “26∼28일 장례절차를 엄수하겠다”고 밝히고 장례 절차에 돌입했다.
유가족이 없는 무연고 사망자의 장례인 만큼 관할 지방자치단체가 진행하게 돼 있어 이들 모자의 장례는 관악구가 맡게 됐다.
그러나 비대위는 이번 장례식이 정부의 사과 등이 없이 진행된 ‘날치기 장례’라고 비판했다. 비대위는 통일부에 ▲ 정부의 사과 ▲ 통일부와 범 탈북민 단체 간 협의기구를 설치 ▲ 전국적인 탈북민 협력망 구축 등을 요구해왔다.
애도 기간은 28일까지로, 오전 10시부터 오후 9시까지 조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