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추사 김정희와 청조문인의 대화
  • 윤만형
  • 등록 2019-06-10 10:21:18

기사수정

▲ [사진=홍보포스터]


예술의전당(사장 유인택)은 중국국가미술관(관장 우웨이산 吳爲山)과 공동으로 오는 6월 18일(화)부터 8월 23일(금)까지 중국 베이징에 위치한 중국국가미술관에서 <추사 김정희와 청조 문인의 대화전>을 개최한다. 예술의전당과 중국국가미술관이 공동 주최하고 예술의전당과 과천시 추사박물관(과천시장 김종천)이 공동 주관하는 이번 전시는 ‘괴(怪)의 미학(美學)과 동아시아 서(書)의 현대성(現代性)’을 주제로 개최되며, <치바이스와의 대화전>(2018.12.05 ~ 2019.2.17 / 예술의전당 서울서예박물관)에 이은 두 번째 한(韓)·중(中) 국가예술교류프로젝트다. 이번 전시에는 간송미술문화재단, 과천시추사박물관, 제주추사관, 영남대박물관, 김종영미술관, 수원광교박물관, 이천시립월전미술관, 선문대박물관, 일암관, 청관재, 정벽후손가, 그리고 개인 등 총 30여 곳에서 출품된 현판, 대련, 두루마리, 서첩, 병풍 등이 총 망라되어 있다. 특히 유교로 관통하는 추사의 학예일치(학문과 예술이 하나)와 유희삼매(예술이 극진한 경지에 이름) 경지를 유감없이 보여주는 걸작과 자료 총 87건이 중국국가미술관에서 처음으로 공개된다. 유 사장은 “이번 전시가 19세기 동아시아 세계인이었던 추사 김정희 선생을 통해 21세기 동아시아 평화와 예술의 미래까지 생각하는 출발점이 되길 바란다”는 포부를 밝혔다. 김종천 과천시장은 “이번 전시를 통해서 우리만 아는 추사가 아닌, 세계인이 함께 감상하고 느끼는 추사 서화(書畫)의 새로운 장이 열리길 기대한다”고 뜻을 밝혔다. 18일 개막식에 이어 19일 중국국가미술관에서 전시 학술포럼도 진행되는데 유홍준(명지대학교 석좌교수, 전 문화재청장), 허홍범(과천시 추사박물관 학예연구사), 최준호(광주대 교수) 등이 한국 측 발표자로 나서고 션펑(전 중국서법가협회 주석), 왕위에촨(베이징대학교 중문과 교수, 베이징대 서법예술견구소장), 예신(중국국가화원서법전각원 해외서법연구소 부소장) 등이 중국 측 발표자로 나서 추사의 서(書)를 매개로 한 한중간 진정한 의미의 예술교류의 장이 될 전망이다. 


19세기 동아시아 서(書)의 패러다임 전환 속에서 바라본 ‘추사체’

“괴(怪)하지 않으면 역시 서(書)가 될 수도 없다.”


이번 전시는 19세기라는 동서(東西)역사와 동아시아라는 시공간의 지평에서 ‘서(書)’와 ‘추사서(秋史書)’를 함께 살펴보는 데 의미가 있다. 지금까지 한국에서는 추사 김정희의 예술을 ‘기괴고졸(奇怪古拙)’한 조형미학을 특징으로 평가해왔다. 하지만 추사 개인적인 성취에 주로 머무르거나 신화화되어 왔고 한편으로는 극단적인 진위논쟁에 빠져 정작 추사체(秋史體)의 미학(美學)을 객관성과 보편성, 독자적인 성취 관점에서 바라보지 못하였다. 청조(淸朝) 금석고증학(金石考證學)의 발흥으로 19세기 동아시아 서사(書史)는 첩학(帖學)에서 비학(碑學)으로 패러다임이 바뀌었다. 이러한 때 추사 김정희와 옹방강 · 완원의 한중간 대화(對話)의 가장 큰 성과는 학예일치(學藝一致)와 비첩혼융(碑帖混融)의 결정인 ‘추사체’를 창출한 데 있다. 추사체의 조형미학과 정신경계는 한마디로 기괴고졸(奇怪古拙)과 유희(遊戱)라 볼 수 있다. 추사 생존 당대에도 추사체의 괴미(怪美)에 대해서는 비난과 조롱이 비등하였다. 하지만 추사는 이에 대해 “괴(怪)하지 않으면 역시 서(書)가 될 수도 없다.”라고 응수했을 정도다. 이러한 추사의 학예성취에 대해서 《청조문화(淸朝文化) 동전연구(東傳硏究)》 저자인 후지스카 치카시(藤塚鄰, 1879~1948)는 “청조문화(淸朝文化)에 정통하고 새로이 실사구시(實事求是)의 학문을 조선에 수립 선포한 위대한 공적을 이룬 사람은 전에도 없었고, 고금독보(古今獨步)라는 느낌이다.”라고 말한다.


고금독보(古今獨步)의 ‘반역적’ 성격과

‘큐비즘’ 성격으로서의 추사체


추사의 학예성취는 한국 동아시아는 물론 서구 현대미술과의 대화까지도 문을 열어놓고 있다. 이런 맥락에서 추사체(秋史體)의 괴미(怪美)와 유희(遊戱)정신은 19~20세기 서구미술의 ‘추(醜)’와 ‘추상(抽象)’과 같고도 다른 맥락에서 비교해 볼 수 있다.

   전 중국서법가협회 주석이자 현존 중국최고의 서법가로 추앙받는 션펑(沈鵬, 1931~현재)은 “변혁의 중심에 있었던 김정희의 서법(書法) 작품은 강렬한 반역적(反逆的) 성격, 특히 비(碑)로서 첩(帖)으로 들어가는 모종의 ‘불협조(不協調)’의 성격은 일반인으로서는 쉽게 받아들이기 힘들지만 김정희의 서법으로부터 느낄 수 있는 조선민족의 강렬한 독립과 자주(自主)와 자강(自强)의 모습은 사람의 마음을 뒤 흔들어 놓는다.”고 말했다.

   한국의 현대추상조각 선구자인 김종영(金鍾瑛, 1915~1982)은 “내가 완당[김정희의 호]을 세잔에 비교한 것은 그의 글씨를 대할 때마다 큐비즘을 연상시키기 때문이다. 완당이 일반의 통념을 완전히 벗어나 작자(作字)와 획(劃)을 해체하여 극히 높은 경지에서 재구성하는 태도며 공간을 처리하는 예술적 구성이며 하는 것은 그의 탁월한 지성을 말해주는 것이다.”라고 평가하고 있다.


‘학예일치’ ‘해동통유’ ‘유희삼매’

3가지 키워드로 조명하는 추사의 ‘괴(怪)’의 미학


이번 전시는 ‘괴(怪)의 미학을 키워드로 ‘추사체’의 성격 전모를 19세기의 한중은 물론 동아시아와 세계라는 공간에서 바라보며 ▲학예일치(學藝一致) ▲해동통유(海東通儒) ▲유희삼매(遊戱三昧) 등 총 3부로 구성하였다.

   <학예일치> 섹션에서는 옹방강·완원의 ‘실사구시(實事求是) 입장의 경학(經學)과 금석고증학(金石考證學)을 역사와 서법을 하나로 고예(古隷)에서 완성해내는 지점에서 보는 것이 중요하다. <옹방강이 추사에게 보낸 제3편지>, <실사구시잠(實事求是箴)>, <복초재시집(復初齋詩集)>, <소영은(小靈隱)>, <상량·상견(商量·想見)>, <문복도(捫腹圖)> 등 추사와 청조문인과의 교유관계 핵심작품들이 먼저 눈에 들어온다. 그리고 <임군거효렴경명(臨君擧孝廉鏡銘)>, <예학명임(瘞鶴銘臨)>, <임곽유도비(臨郭有道碑)>, <배잠기공비제발(裵岑紀功碑 鉤勒本 題跋)>, <진흥북수고경(眞興北狩古鏡)> 등 추사체(秋史體)의 궁극인 고예(古隷)와 고해(古楷) 재해석 작품과 <양한금석기>, <해동금석원>, <해동금석영기> 등 조(朝)청(淸)문인들의 금석학 연구 자료들을 통해서는 서(書)가 왜 학문이 전제되지 않으면 안 되는지 살펴본다.

   <해동통유> 섹션에서는 제주 유배라는 극한의 실존에서 유마거사를 자처하면서 유불선(儒佛仙)을 아우르는 통유로서 추사의 정신세계를 보는 것이 관건이다. <문자반야(文字般若)>, <칠불설게 도득문지(七佛說偈 都得聞之) 등 게송(偈頌) 모음, <직심도량(直心道場)>, <영모암편배제지발(永慕庵扁背題識跋)>, <명선(茗禪)>, <단연죽로시옥(端硏竹爐詩屋)> 그리고 <부기심란(不欺心蘭)>, <향조암란(香祖庵蘭)>, <추사 소치 합작 시화 ‘산수국’>은 통유(通儒)와 서화일체의 면모를 유감없이 보여주는 걸작들이다.

   <유희삼매> 섹션에서는 비첩혼융(碑帖混融)의 ‘추사체’가 발산하는 불계공졸(不計工拙)과 천진(天眞)의 미학골수를 보는 것이 핵심이다. <계산무진(谿山無盡)>, <도덕신선(道德神僊)>, <순로향(蓴鱸鄕)>, <사서루(賜書樓)>, <판전(板殿)>, <완당집고첩(阮堂執古帖)>, <무쌍·채필(無雙·彩筆)>, <인고·폐거(人苦·弊去)> 등은 추사체의 유희삼매 경지가 어떤지 두 눈으로 목도하게 한다.


210년 만에 중국으로 가는 추사,

학문과 예술로 21세기 한중우의 100년의 초석을 다지는 전시


<추사 김정희와 청조문인의 대화>는 한중우의와 동아시아 예술 미래를 학예 역사의 재발견을 통해 구축하는 본격적인 시발점이라는 측면에서 큰 의의가 있다. 한중은 늘 지리적, 역사적으로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임에도 불구하고 20세기 근현대 100년간 식민지 서구화과정에서 국가간 예술교류프로젝트로서 개최되는 본격적인 전시로는 사실상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서예 장르를 가지고, 그것도 한국역사상 가장 위대한 예술가임은 물론 19세기 당시 동아시아 세계 서예 역사에서 추사체로 가장 독자적인 성취를 이룬 인물로 평가 받는 추사 김정희(金正喜, 1786~1856)의 학예 세계 전모를 가지고 가는 데에는 각별한 의미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추사와 200여 년 전으로 돌아가 청조(淸朝) 학예거장이자 추사의 중국 스승인 옹방강(翁方綱, 1733~1818) · 완원(阮元, 1764~1849)과의 대화를 통해 한중은 물론 동아시아 문명의 미래를 ‘필묵공동체’란 화두로 이야기하는 것은 추사 개인을 통해 정치를 뛰어넘는 역사적인 사건이라 할 수 있다. 마침 올해는 1809년에 추사가 연행(燕行)을 한 때로 따지면 210년이 되고, 6월 3일은 추사가 태어난 날이기도 하여 이번 전시의 의미를 더한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이전 기사 보기 다음 기사 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울산 S-OIL 샤힌 프로젝트 현장, 비계 발판 붕괴… 근로자 다수 부상 [뉴스21일간=김태인 ]2025년 11월 19일 오후 5시경, 울산 울주군에 위치한 에쓰오일의 '샤힌 프로젝트 패키지1' 공사 현장에서 안타까운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근로자들의 휴게를 위한 컨테이너 사이에 설치된 2m 높이의 비계 다리가 갑작스럽게 무너지면서, 이 사고로 총 7명의 근로자가 부상을 입었습니다.사고가 발생한 샤힌 프로젝트...
  2. 제1회 태욱가요제 11월 23일 개최 [뉴스21일간=임정훈]태욱엔터테인먼트는 오는 2025년 11월23일(일)오후3시30분, 부산 남구 용소로 78에 위치한 부산예술회관 대공연장에서 제1회 태욱가요제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에는 장락, 정유나, 유명민, 홍다영 등 다수의 초대 가수가 무대에 오르며, 진성경아, 안진용, 김미경, 박윤창, 아랑고고장구 부산진구팀 등 다양한 장르...
  3. 통일 미래세대의 비전을 키우다: 우정초등학교, '평화통일 퀴즈대회' 성황리 개최 (뉴스21일간/노유림기자)=민족통일 울산시협의회(회장 이정민)는 2025년 11월 14일(금) 오전 10시, 울산 우정초등학교 승죽관에서 5·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평화통일 퀴즈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미래 통일 주역인 학생들에게 올바른 통일관과 역사 인식을 심어주기 위해 마련된 이번 대회에는 이정민 회장과 이학박사 박성배...
  4. 제63주년 소방의 날 기념, 일산새마을금고 박학천이사장 소방청장상 수상 일산새마을금고[뉴스21일간=임정훈]2025년 11월 14일 (금) 울산동부소방서에서 제63주년 소방의 날을 기념하여 일산새마을금고 박학천이사장님이 소방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 소방청장상 ]을 수상하였습니다.이날 표창 전달은 울산동부소방서 우충길서장님이 대리 집행하였습니다.일산새마을금고는 지난 2008년부터 현재까지 매년 ..
  5. 동구, 아동권리 증진을 위한 아동학대 예방 캠페인 동구청[뉴스21일간=임정훈]울산 동구는 아동학대 예방 주간(11.19~11.23)을 기념해, 11월 14일 오후 2시 30분부터 방어동 화암초등학교 인근에서 아동 권리 증진을 위한 아동학대 예방 홍보 캠페인을 했다.    이날 캠페인은 동구아동위원협의회, 울산동부경찰서, 아동보호전문기관, 동구 아동보호팀이 함께하는 민관 합동 캠페인으로, 20여...
  6. 일산동 아동‧여성지킴이회, 번덕경로당 어르신 식사 대접 일산동 아동,여성지킴이회[뉴스21일간=임정훈]울산 동구 일산동 아동‧여성지킴이회(회장 김행자) 회원들은 11월 14일 오전 12시, 번덕경로당을 방문하여 관내 독거 어르신 40여 명을 대상으로 따뜻한 점심 식사와 간식을 대접하며 훈훈한 시간을 보냈다.    일산동 아동‧여성지킴이회는 매년 어르신들을 위한 식사 나눔 봉사뿐 아니...
  7. 남목 도시재생 축제 ‘미포1길 골목형상점가에서 놀장’성료 동구청[뉴스21일간=임정훈]울산 동구는 11월 14일 오후 5시부터 9시까지 미포1길 일원에서 ‘미포1길 골목형상점가에서 놀장’를 성황리에 마쳤다.    이번 행사는 올해 골목형상점가로 지정된 미포1길의 활성화를 촉진하고 지역 상인과 주민이 함께 어울리는 자리로 마련됐다. 약 250m 구간의 미포1길 일대를 차량 통제해 주민들이 자유...
사랑더하기
sunjin
대우조선해양건설
행복이 있는
오션벨리리조트
창해에탄올
더낙원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