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신 제조, 품질 관리 및 허가 분야 국제위상 한층 드높여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생물의약품본부가 2007년 12월 1일부터 WHO 국제교육훈련(Global Training Network, GTN) 센터로 지정되었다고 밝혔다. 식약청은 이번 WHO 국제교육훈련(Global Training Network, GTN) 센터 지정으로 식약청의 백신 제조․품질관리 및 허가 수준이 국제적 수준임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고, 국가 위상 제고와 함께 국내 백신의 수출 증대를 위한 기반조성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전망이라고 밝혔다. WHO에서는 백신의 안정성.유효성을 확보를 위해 1996년부터 국제교육훈련망(Global Training Network, GTN)을 운영하고 있으며 2007년 현재 9개 교육과정에 세계보건기구(WHO) 등 16개 국가 규제기관 및 백신 제조사를 국제교육훈련센터로 지정하였다. 식약청은 2005년부터 WHO와의 협의를 시작으로 3회에 걸쳐 국내.외 GMP 실태조사자 대상 국제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고 WHO 현장 평가를 통해 WHO GTN 센터로 지정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식약청은 2007년12월 5일 GTN 센터지정 기념행사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국제교육훈련망 (Global Training Network, GTN) □ GTN의 의미 WHO에서는 백신의 안전성.유효성 확보를 위해 백신 규제당국자 및 백신 생산자를 교육시키는 GTN을 운영하고 있음. GTN은 백신 관리, 백신 조달 및 백신 품질의 세 분야로 이루어져 있으며, GMP, 실험실품질관리시스템, 품질관리시험, DTP 백신 생산, 허가, 실험실 동물 관리, 시판 후 부작용 조사, 완제품 출하(Lot release and laboratory access) 및 백신의 임상평가 등에 대하여 전 세계 여러 나라에 교육 기관을 마련하고 관련 교육을 실시하고 있음. □ WHO GTN 센터 지정 추진 경위 ◦ 2005.11 GMP Inspector Training 국제훈련망 가입을 위한 제안서 송부(‘05.11): 식약청 생물의약품품본부 GMP Inspector(실태조사자) 및 백신 임상평가를 위한 WHO 국제교육센터로 자정받고자 제안서(제목, 강사진, 교육프로그램, 예산 등)을 WHO에 송부 ◦ 2006.6.30 GMP 실태조사자 교육일정 및 세부 계획 송부 ◦ 2006.7.13 및 2006.8.7 WHO와의 teleconference 실시: 교육일정, 평가방법, 예산 등에 대한 협의 ◦ 2006.10.4 GMP 실태조사자 교육일정 송부 ◦ 2006.11.16-11.17 WHO 사전 방문평가 실시 ◦ 2006.11.28-12.4 제1차 국내.외 GMP 실태조사자 대상 WHO 국제교육훈련 실시 및 WHO 평가: 교육대상자 각각 정부 GMP 실태 조사자 9명(필리핀 3인, 크로아티아 2인, 태국 2인, 한국 식약청 2인) ◦ 2007.6.19-6.27 제2차 국내.외 GMP 실태조사자 대상 WHO 국제교육훈련 실시 및 WHO 평가: 교육대상자 14명(이란 2, 인도네시아 4, 태국 2, 오만 1, 이집트 1, 나미비아 1, 한국 3) ◦ 2007.11.27-12.5 제3차 국내.외 GMP 실태조사자 대상 WHO 국제교육훈련 실시 및 WHO 평가: 교육대상자 14명(크로아티아 1, 알바니아 1, 불가리아 2, 인도네시아 3, 멕시코 1, 한국 2)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