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는 ‘2019년 국가안전대진단’을 오는 2월 11일부터 4월 19일까지 68일간 추진한다고 3일 밝혔다.
올해 국가안전대진단은 ‘위험시설 안전관리체계 확립 및 점검의 실효성 강화’와 ‘전방위적인 국민 참여를 통한 안전문화 정착에 기여’를 추진방향으로 정하고, 중앙·지방, 유관기관(부서), 전문가, 도민 등이 참여하는 방식으로 합동점검을 실시한다.
합동점검 대상시설은 ▶중앙부처에서 위험시설로 관리하고 있는 시설 ▶최근 사고 발생시설 및 국민관심 분야 ▶국가기반시설(석유, 가스 등)·공사장 인근 학교시설·유해화학물질취급사업장·건설 공사장 등 위험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도내 3,200여 시설물이다.
그동안 국가안전대진단은 점검대상 시설을 합동점검과 관리주체가 실시하는 자체점검으로 구분해 실시해 왔지만, 올해는 점검대상 시설 전체를 합동점검 방식으로 전환한다.
또한, 대규모 건설현장, 화재취약지구, 전통시장 등 도민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분야를 중심으로 민관합동점검반을 편성해 시설물의 구조적 안전뿐만 아니라, 안전규정 준수 여부와 안전관리체계 등을 집중 점검한다.
- 점검에서는 현실에 맞지 않는 불합리한 제도를 찾아 개선책도 마련한다.
해빙기 기간인 2월 중순에서 3월까지는 급경사지, 옹벽, 석축, 건설현장 등 인명 및 재산피해가 높은 시설물에 대해 해빙기 안전대책과 연계해 국가안전대진단을 실시한다.
제주특별자치도 박성연 안전정책과장은 “국가안전대진단은 행정기관뿐 아니라, 기업·민간단체 등 도민들이 협력하고 참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하고, “국가안전대진단이 사회전반의 안전수준과 도민의 안전의식을 높일 수 있는 촉매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