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전]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한–베 수교 33주년 기념 특별전
한국과 베트남의 우정이 ‘빛’이라는 예술의 언어로 재해석된다.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과 한–베 수교 33주년을 기념하는 특별전 ‘빛으로 잇는 우정, 북두칠성 아래의 두 나라 이야기’가 오는 12월 10일부터 12일까지 국회의원회관 3층 로비에서 개최된다. 이번 전시는 한–베의원친선협회와 주한 베트남 대사관이 공동 주최하고, 한...
[특별취재] 남원중 3학년 학생 80명 등 95명 참여… ‘제주의 아픈 역사’ 현장서 배우다
[특별취재] 남원중 3학년 학생 80명 등 95명 참여… ‘제주의 아픈 역사’ 현장서 배우다 사단법인 서귀포룸비니청소년선도봉사자회(대표 박은교)가 24일 남원중학교 3학년 학생 80명과 교사7명, 봉사자회원 8명 등 95명이 참여한 가운데 제주의 아픈 역사 바로알기 탐방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이 프로그램은 일제강점기와 제주4·3의 비극이 고...
▲ (사진=대구문화재단)(재)대구문화재단(대표 박영석)은 ‘2018년 해외레지던스파견사업’에 선정된 미술작가 6명의 중국 항주 레지던스 파견활동에 따른 결과보고전시를 오는 12월 21일(금)부터 1월 3일(목)까지 갤러리 토마에서 개최한다.
재단은 2014년부터 지역의 미술작가들이 예술의 도시 중국 항주에 거주하면서 창작활동과 현지 예술인과의 교류활동을 지원하였으며, 선정된 작가는 4월부터 12월까지 2명씩 3개월 단위로 파견되었다. 올해 파견을 완료한 작가는 신주현(회화), 유나킴(사진), 정재범(공공미술), 김희정(회화), 김현주(회화), 한승훈(회화)이다.
‘해외레지던스파견사업’은 대구에 주소지를 둔 만 40세 이하 시각예술분야 작가의 국제 파견활동을 지원하는 사업으로 선정된 미술작가는 현지 스튜디오 및 숙소(천홍미화원), 왕복 항공료와 매월 창작지원금을 제공받아 중국의 다양한 예술문화를 체험하고, 창작활동에 새로운 밑거름이 되도록 지원하였다.
이번 전시는‘경계의 시야’라는 제목으로 6명의 작가가 각자의 기준에서 사회를 바라보며 현재에 대한 의심, 가능성, 가치를 찾고 무심코 흘러가는 순환의 과정 속에서 경계해야 할 것들을 작품으로 보여주고자 한다. 파견작가들은 서로 다른 이유로 국제 레지던스에 참여했지만 파견기간 동안 서로의 시야를 공유했던 환경에 흥미를 가졌고, 그간의 감정들을 시각화해서 작품으로 나타냈다.
신주현 작가는 대상을 어느 곳에서 어떻게 보는지, 누가 보는 것인지에 따라 판단되므로 절대적으로 옳은 것과 틀린 것은 없다는 것을 O와 X를 사용해 전달하며, 유나킴 작가는 중국 항주에서 매일 하나씩의 덕담을 마주하였는데 한자라는 중국의 ‘말’이 우리나라 ‘음’으로 읽혀지고 이렇게 읽혀진 음을 영어로 바꾸는 작업을 통해 언어의 가능성을 엿보고자 한다.
정재범 작가는 중국에 머물며 지하철 공사현장과 재개발지역 주변에서 경험한 모순적인 상황이나 감정들을 실재하지만 실체가 없는 어지럼증이라는 증상으로 해석하고 치료 또는 치유의 방법에 대해 이야기하며, 김희정 작가는 흘러가는 시간 속 무기력함과 허무, 한숨이 뒤엉킨 알 수 없는 우리를 0의 상태로 나타내고 작품에 표현한다. 김현주 작가는 자연의 순환과정에서 생명이 연상시키는 삶과 죽음을 깨어있는 동안 반복해서 그리는 그림을 통해 강박적으로 환기시키고자 하며, 한승훈 작가는 인간의 욕망에서 비롯된 공허, 적막감을 느끼고 있는 사회배경에서 희망을 기대할 수 있는 작품을 그려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