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남도가 18일(화) 가야문화권 중요 유적 발굴조사 현장설명회를 통해 아라가야의 고도인 함안군의 주요 가야유적 두 곳에서 주목할 만한 발굴성과를 올렸다고 밝혔다.
경상남도는 가야사 연구복원이 국정과제로 채택된 이래 도내 여러 가야유적에서 중요한 학술조사를 실시하고 있는데 그 중 아라가야의 고도인 함안군의 주요 가야유적 두 곳에서 가야사를 재정립하는 데 주목할 만한 발굴성과를 올렸다.
□ 아라가야 추정 왕성지에서 토성과 건물지 14동 확인
그동안 문헌과 구전으로만 전해져 실체를 알 수 없었던 아라가야 추정 왕성지는 지난 4월 경작지를 조성하던 중 성토 흔적과 함께 우연히 발견됐으며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의 긴급발굴조사를 통해 가야시대 왕성의 존재를 뒷받침할 수 있는 토성(土城)과 건물지 등이 확인됐다.
올해 9월부터 진행된 정밀발굴조사에서는 수혈식(竪穴式)과 고상식(高床式) 건물지* 14동과 구릉의 생김을 따라 조성된 토성벽과 목책렬(木柵列) 약 100m가 확인됐다.
* 고상식 건물지 : 바닥을 땅 위나 물 위에 높게 지은 건물
특히 건물지군에서는 유적의 성격을 가늠할 수 있는 시설과 유물이 다량 출토됐다. 그 중 10호 건물지는 판석(板石)을 세워 만든 긴네모꼴의 건물지로, 내부에 길이 5m의 부뚜막이 설치돼 있어 가야지역에서는 처음 확인되는 구조다.
그 외에도 초대형의 고상식 건물지(30×6m)와 망루, 창고 등 다양한 용도의 건물지가 확인됐다. 출토유물로는 그릇받침을 비롯헤 연질항아리와 시루 등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5~6세기 가야토기들이 출토됐으며, 각종 화살촉, 비늘갑옷, 말발걸이 등 다양한 철제 무기, 마구 등도 함께 출토됐다.
발굴관계자는 “아라가야 왕성지는 토성 등의 방어시설을 갖춘 아라가야 전성기 최고지배층의 생활공간으로, 이번에 발굴한 건물지군은 철제무기로 무장한 군사집단이 왕성을 방어하기 위해 상시적으로 거주하였던 시설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이날 발굴조사 현장설명회에는 문화재청장, 함안군수, 경상남도 문화관광체육국장이 참석했다. 김제홍 경상남도 문화관광체육국장은 “문헌기록이 부족한 가야사는 그동안 유적에 대한 조사연구가 절실히 필요했음에도 소홀한 감이 있었다. 이에 경상남도는 가야사가 우리 고대사의 한축이었음을 밝혀 나가는 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내년도 가야사 연구복원을 위해 국비 포함 739억 원을 확보했으며, 조사연구를 통해 가야사를 충실히 규명해 나감은 물론, 가야고분군 세계유산 등재 추진 및 가야문화 아카데미, 영호남 화합한마당 축제 등을 통해 도민들이 가야의 역사와 문화를 실질적으로 보고 느끼고 자랑스러워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