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전]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한–베 수교 33주년 기념 특별전
한국과 베트남의 우정이 ‘빛’이라는 예술의 언어로 재해석된다.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과 한–베 수교 33주년을 기념하는 특별전 ‘빛으로 잇는 우정, 북두칠성 아래의 두 나라 이야기’가 오는 12월 10일부터 12일까지 국회의원회관 3층 로비에서 개최된다. 이번 전시는 한–베의원친선협회와 주한 베트남 대사관이 공동 주최하고, 한...
[특별취재] 남원중 3학년 학생 80명 등 95명 참여… ‘제주의 아픈 역사’ 현장서 배우다
[특별취재] 남원중 3학년 학생 80명 등 95명 참여… ‘제주의 아픈 역사’ 현장서 배우다 사단법인 서귀포룸비니청소년선도봉사자회(대표 박은교)가 24일 남원중학교 3학년 학생 80명과 교사7명, 봉사자회원 8명 등 95명이 참여한 가운데 제주의 아픈 역사 바로알기 탐방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이 프로그램은 일제강점기와 제주4·3의 비극이 고...

서울문화재단(대표이사 김종휘)이 ‘2018 제3회 서울축제포럼’을 12월 7일(금) 오전 10시 30분부터 오후 6시 30분까지 서울파트너스하우스에서 개최한다.
이번 포럼은 ‘축제, 새로운 길을 묻다’라는 주제로 진행되며 서울시, 자치구 관계자, 축제기획자 및 전문가, 시민 등 다양한 참가자들과 함께 서울의 축제 발전을 위한 다양한 의견을 나눌 예정이다.
서울문화재단은 서울축제지원센터 운영을 통해 서울시 축제의 질적 성장을 위한 컨설팅과 역량강화 프로그램, 네트워크 구축 등 다각적인 지원을 해왔다. 2015년부터 시작해 올해로 3회째인 ‘서울축제포럼’은 이러한 지원의 일환으로 서울의 축제 관련 담론 형성과 관계자간 활발한 교류에 기여해 왔다.
포럼은 총 3개의 세션으로 진행된다. ‘축제도시 서울을 위한 길 찾기’로 진행되는 첫 번째 세션은 △서울연구원 라도삼 선임연구위원의 ‘축제도시 서울을 위한 정책방향’ △한강몽땅축제 윤성진 총감독의 ‘축제 생태계 기반조성 전략’에 대해 발제한다. 사회는 이병민 건국대 문화콘텐츠학과 교수가 맡았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주민참여형 축제만들기’라는 주제로 한국문화기획학교 이지현 연구위원이 발제하며, ‘서울시 축제의 주민참여 제고방안 연구’와 함께 주민참여축제의 의미와 주민참여의 스펙트럼, 참여형 축제의 활성화 방안에 대해 공유한다.
사례 발표로 ‘구로 천왕마을축제(서진미 천왕마을연합회 위원장)’, ‘중구 중림동 마을축제(안정숙 중림동 마을축제기획단장)’가 소개된다.
세 번째 세션은 서울문화재단의 축제 시민모니터링단이 서울의 축제에 대해 솔직하고 재기발랄한 이야기를 들려줄 예정이다. 미래의 축제기획자를 꿈꾸는 젊은 세대의 눈에 비친 서울의 축제 현장, 축제를 새롭게 바꾸기 위한 아이디어와 제안이 펼쳐질 예정이다.
서울문화재단 김종휘 대표이사는 “‘2018 서울축제포럼’은 축제도시 서울을 향한 새로운 이정표를 만들기 위해 함께 머리를 맞대고 소통하는 자리”라며 “이번 포럼을 통해 서울의 축제 생태계 기반을 새롭게 하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