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전]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한–베 수교 33주년 기념 특별전
한국과 베트남의 우정이 ‘빛’이라는 예술의 언어로 재해석된다.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과 한–베 수교 33주년을 기념하는 특별전 ‘빛으로 잇는 우정, 북두칠성 아래의 두 나라 이야기’가 오는 12월 10일부터 12일까지 국회의원회관 3층 로비에서 개최된다. 이번 전시는 한–베의원친선협회와 주한 베트남 대사관이 공동 주최하고, 한...
[특별취재] 남원중 3학년 학생 80명 등 95명 참여… ‘제주의 아픈 역사’ 현장서 배우다
[특별취재] 남원중 3학년 학생 80명 등 95명 참여… ‘제주의 아픈 역사’ 현장서 배우다 사단법인 서귀포룸비니청소년선도봉사자회(대표 박은교)가 24일 남원중학교 3학년 학생 80명과 교사7명, 봉사자회원 8명 등 95명이 참여한 가운데 제주의 아픈 역사 바로알기 탐방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이 프로그램은 일제강점기와 제주4·3의 비극이 고...
▲ (사진=인천문화재단)인천아트플랫폼은 ‘동시대 레지던시 현장과 실천’을 화두로 국제포럼 <동시대 레지던시, 가능성의 저장소>를 개최한다. 국내외 레지던시 전문가와 예술가의 발제 및 라운드테이블로 구성된 이번 포럼은 11월 24일(토) 오후 2시부터 인천아트플랫폼 창고갤러리에서 진행된다.
인천아트플랫폼은 여러 국가와 도시, 환경 속에서 레지던시가 활발히 조성되고 있는 미술계의 상황에 주목하여 다양한 국제 레지던시의 현장과 예술가 지원 현황에 대해 알아보고자 이번 국제포럼을 개최한다. 미술계 전문가와 예술가의 발표 및 토론을 통해 국제 레지던시에 대한 실질적 정보를 공유하고, 포럼을 계기로 기관과 기관, 기관과 예술가간 국제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계기를 만들고자 한다.
발제자들은 예술매개자 또는 입주예술가로서 자신이 경험한 레지던시에 대해 소개할 예정이다. 첫 순서로 2018 강원 비엔날레 예술 감독이자 미술평론가로 활동하는 한편 인천아트플랫폼의 운영자문위원인 홍경한은 “국제교류에 있어 한국 레지던시의 현황”을 주제로 국내 레지던시들의 창작환경 및 존재방식을 살펴보고, 국내외 예술가들의 실질적인 교류현황, 레지던시 특유의 네트워크 형성에 관한 여러 현상들을 짚어볼 계획이다.
그 다음으로 일본과 대만의 레지던시 전문가의 발표가 진행된다. 일본의 경우 전(前) 아오모리 컨템포러리 아트센터(Aomori Contemporary Art Center)의 큐레이터이자 현재 도쿄 아츠 앤 스페이스(Tokyo Arts and Space)의 프로그램 디렉터로 활동 중인 곤도 유키(近藤 由紀)가 아오모리와 도쿄라는 서로 다른 도시에 위치한 두 기관의 운영기조와 예술가 지원양상에 대해 발표한다. 대만의 경우, 인천아트플랫폼과 유사하게 항구도시 가오슝에서 설립된 레지던시 피어 투 아트센터(Pier-2 Art Center)의 전시 부문 총괄 큐레이터 수 이첸(HSU Yi-chen)이 피어-투 아트센터의 설립과 레지던시 프로그램, 청년 예술가 지원 아트페어 등에 대해 소개할 예정이다.
아시아 레지던시에 관한 전문가의 발표에 이어, 아트플랫폼 전(前) 입주 작가가 유럽과 미국 레지던시를 청중들에게 소개한다. 더바이트백무브먼트의 이승연(아트플랫폼 7기 입주 작가)은 독일 쉐핑헨 쿤스트할레와 베를린 ZK/M 레지던시를 주제로, 정혜정(아트플랫폼 8기 입주작가)은 뉴욕 APEX ART를 매개로 특정 도시와 지역, 환경, 공간에 입주하여 작업을 이어가는 것의 의미와 양상을 청중들에게 전달할 예정이다.
발제에 이어 좌장 홍경한과 발표자 4인은 발표에서 소개된 다양한 국가/지역/환경 속에서 설립되어 운영 중인 국제 레지던시의 현장을 화두로 열린 논의를 진행한다. 인천아트플랫폼 이재언 관장은 “국내외 레지던시간 정보와 의견이 오가고, 예술가와 전문가 사이 네트워크가 형성되는 유의미한 자리가 마련되기를 기원한다.”며 포럼 개최의 의의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