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별전]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한–베 수교 33주년 기념 특별전
한국과 베트남의 우정이 ‘빛’이라는 예술의 언어로 재해석된다. 호찌민 주석 탄신 135주년과 한–베 수교 33주년을 기념하는 특별전 ‘빛으로 잇는 우정, 북두칠성 아래의 두 나라 이야기’가 오는 12월 10일부터 12일까지 국회의원회관 3층 로비에서 개최된다. 이번 전시는 한–베의원친선협회와 주한 베트남 대사관이 공동 주최하고, 한...
[특별취재] 남원중 3학년 학생 80명 등 95명 참여… ‘제주의 아픈 역사’ 현장서 배우다
[특별취재] 남원중 3학년 학생 80명 등 95명 참여… ‘제주의 아픈 역사’ 현장서 배우다 사단법인 서귀포룸비니청소년선도봉사자회(대표 박은교)가 24일 남원중학교 3학년 학생 80명과 교사7명, 봉사자회원 8명 등 95명이 참여한 가운데 제주의 아픈 역사 바로알기 탐방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이 프로그램은 일제강점기와 제주4·3의 비극이 고...

산업통상자원부 산하기관인 한국인정지원센터에서 23년간 운전기사로 일해온 최아무개(57)씨는 2개월 전부터 정신과 치료를 받고 있다. 센터장과 틀어진 사건이 발생한 ‘그 날’ 이후 최씨에게 회사 생활은 악몽이었다.
A씨가 센터에서 구입할 차량의 가격을 비교해 보고하자 이 기관의 센터장 B씨는 차량의 금액을 정확히 보고할 것을 요구했다. A씨가 차량을 구매할지, 빌릴지, 할부로 할지 등 조건이 정해져야 정확한 금액이 알 수 있다고 되물었다.
이에 대해 목소리를 높인 센터장에게 A씨는 “갑자기 소리를 지르길래 ‘활 쏘는 사람한테 유도장에 가서 메달을 따오라고 하면 어떡하냐’고 반발하자, 센터장이 ‘씨X, X같네’라고 욕설을 했다”고 말했다. 이어 A씨의 자동차 열쇠를 빼앗고 ‘너보다 운전 잘하는 사람 뽑아서 다닐테니 집에 가라’고 주장했다.
말대꾸 한 마디에 A씨는 인사 보복에 시달려 왔다. 사건 바로 다음날 직무정지를 당한 A씨는 6일 만에 ‘인증사업 신뢰성 향상 방안’이라는 연구를 지시받았다. 20여년 동안 운전만 해온 A씨에게 재교육도 없이 맡겨진 일이었다. 연구 보고서를 매일 사내통신에 게시하라는 명령까지 받은 A씨의 보고서는 센터장이 내용을 첨삭하기도 했다. 또한 A씨는 다른 직원들과 격리된 1인 독방에 배치됐으며 2주 뒤 전무 차량 운전기사로 다시 발령을 받았다. 한 달 새 직무정지, 단독연구, 전무이사 차량 운전까지 벌써 세 번째 인사 조치였다.
센터장은 A씨에게 가혹한 것 아니냔 이야기가 돌자, 10월18일과 19일 사내통신에 글을 올려 “인정센터(KAB)는 능력없는 사람에게 일감주고 봉급주는 자선단체가 아니잖습니까?” 등의 글을 올리기도 했다.
참다 못한 A씨는 지난 10월31일 국가인권위에 진정을 내자 센터장은 11월8일 “마음 아프게 해서 미안합니다. 제가 사과합니다”라고 문자메시지를 보냈다. 그러나 사과 문자를 받은 다음날인 11월9일, A씨는 다시 차량도 없는 충북 음성 본사에 ‘차량운행 및 업무지원’ 명목으로 또 인사가 냈다.
A씨는 “힘없는 직원을 뺑뺑이 돌리는 건 사실상 나가라는 뜻 아니냐”며 “대학생 자녀가 둘이나 있어 인간 이하의 취급을 당하면서도 그만두지도 못하고 2개월째 정신과 치료를 받으며 버티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센터장은 “하극상 한 부분에 대해서 반성을 하고 업무 개선 훈련을 시키기 위해서 단독연구라는 교육훈련 기회를 준 것”이라며 “별로 효과가 없어서 전무 차량운행을 맡겼지만 규정에 없는 일이라는 지적이 있어서 재차 인사를 냈을 뿐”이라고 말했다. 욕설을 한 것에 대해서는 혼잣말이었다고 말했다.
A씨의 진정사건을 조사하고 있는 인권위는 “기본권 침해적 요소가 있어 보인다”며 “올해 안에 현장을 찾아 조사를 진행할 것”이라고 밝혔다.
인정지원센터는 품질인증기관의 인증 신뢰성을 따져 ‘인정’해주는 업무를 하는 곳으로 국가기술표준원의 감독을 받는 재단법인이다. B센터장은 과학기술부에서 30여 년 동안 근무한 공무원 출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