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국가경쟁력이 4년째 제자리걸음을 보였다. 만성적인 노동 및 금융 부분의 취약한 경쟁력이 또 발목을 잡았다.
WEF(세계경제포럼)가 3대 분야, 12개 항목을 평가해 27일 발표한 ‘2017년 WEF 국가경쟁력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종합순위는 평가대상 137개국 중 26위로 지난해와 같았다.
2014년부터 4년간 같은 순위다. 스위스 미국 싱가포르는 1~3위를 차지했다. 일본은 9위, 중국은 27위다. 2008년 13위였던 한국의 순위는 2009년 19위, 2010년 22위, 2011년 24위 등 점점 하락 추세를 보여 왔다.
평가의 3대 분야 중 ▦기본요인은 16위(지난해 19위) ▦효율성 중진 26위(지난해 26위) ▦기업 혁신ㆍ성숙도는 23위(지난해 22위)를 기록했다. 기본 요인 중 인프라(8위)와 거시경제 환경(2위)에서는 최상위권에 올랐다. 그러나 효율성 증진 분야 중 노동시장 효율성(77→73위), 금융시장 성숙도(80→74위)에서 여전히 하위권을 면치 못했고, 기업활동 성숙도(23→26위)에선 전년보다 순위가 하락했다.
WEF는 “한국이 국가경쟁력을 높이려면 인적자본 투자를 확대하고 혁신성장 등 패러다임 전환 노력을 가속화해야 할 것”이라고 권고했다.
특히 고용안전망 확충을 전제로 노동시장 역동성을 강화하는 등의 경제 구조개혁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어 생산성 중심 경제로의 전환 등 경제의 공급능력을 확충하기 위한 혁신성장 전략을 주문했다.
WEF는 “한국은 선진국 중에서는 드물게 지난 10년간 순위가 하락하고 부문간 불균형이 두드러진다”며 “특히 노동시장의 낮은 효율성이 경쟁력 상승을 가로막는 만성 요인”이라 지적했다. WEF의 국가경쟁력 평가는 3대 분야, 12개 부문, 114개 세부항목에 대해 설문(80개)과 통계(34개)을 통해 순위를 매기는 조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