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24일 한국동서발전과 함께 울산지역에 적용 가능한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 모델 23개를 발굴하고 최종 보고회를 개최한다고 24일 밝혔다.
이날 개최되는 보고회는 연구주관을 맡은 울산과학기술원이 이번 과제를 통해 발굴된 태양광, 수소연료전지, ESS(에너지 저장장치), 바이오와 폐연료 4개 분야 23개 신재생에너지 보급 사업모델에 최종 보고회다.
이날 보고회에서는 연구주관을 맡은 울산과학기술원이 이번 과제를 통해 발굴된 태양광, 수소연료전지, ESS, 바이오·폐연료 4개 분야 23개 신재생에너지 보급 사업모델에 대해 발표할 예정이다.
우선 태양광 분야에서 저수지, 공업단지 옥상, 해수면 등을 활용한 사업과 ESS 분야는 태양광, 바이오에너지 등 ESS를 연계한 하이브리드 전력시스템이 제안된다.
수소연료전지 분야는 수소 버스·승용차 보급, 바이오가스 활용 연료전지 발전 등이 바이오·폐연료 분야에서는 발전소 온배수를 활용한 바이오매스 대량생산, 유기성 폐자원의 바이오 가스화 등이 제시된다.
이번 용역은 울산시와 한국동서발전이 울산지역의 잠재된 신재생에너지 자원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사업화해 지역 내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확대하고 에너지신산업을 육성하고자 지난 10월 착수했으며 이번 달 완료된다.
이어 울산시는 발굴된 사업모델의 적용 가능성을 행정적으로 검토해 장단기 사업으로 구분한 후 대상지 확보와 관계자 협의를 거쳐 본격 사업화해 나갈 예정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정부가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량 20% 달성을 국정과제로 설정하고 재생에너지 사업들을 면밀히 검토한 후 울산이 신재생에너지 선도도시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