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가 23일 ‘5·18 광주민주화운동 특별조사단’을 구성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오전 문재인 대통령이 송영무 국방부 장관에게 5·18 광주민주화운동 당시 공군 전투기의 출격대기 명령 여부와 전일빌딩 헬기 기총소사 사건에 대한 특별조사를 지시한데 대한 후속조치다.
국방부는 이날 오후 특별조사단을 구성해 빠른 시일 내에 조사할 것이라고 밝혔다. 조사단의 이름은 ‘5·18민주화운동 헬기 사격 및 전투기 대기 관련 국방부 특별조사단’이다.
문상균 대변인은 이날 오후 국방부에서 브리핑을 통해 “국방부는 5·18민주화운동 헬기사격 및 전투기 대기 관련 국방부 특별조사단을 구성하여 빠른 시일 내에 특별조사를 실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변인은 “특별조사단에 ‘5·18 민주화운동’ 관련 단체 등에서 참여 요청 시 이를 적극 수용할 것”이라며 “조사단 구성은 완료되면 추후 설명을 드리겠다”고 설명했다.
문 대변인은 또 “국방부는 ‘5·18민주화운동’ 당시 헬기사격 및 전투기 대기와 관련해 철저한 진상조사와 진실규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문 대통령은 오늘 5·18 광주민주화운동 당시 공군 전투기 부대에 광주를 향한 출격 대기 명령이 내려졌다는 일부 언론의 보도와 또 당시 전일빌딩을 향한 헬리콥터 기총 사격 사건 등 두 건과 관련한 특별조사를 송영무 국방부 장관에게 지시했다”고 밝힌 바 있다.
문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그간 ‘광주에서 헬기 기총소사는 없었다’는 입장을 밝혀왔던 군 당국이 사실 확인에 나서면서 실체적 진실 규명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
또 1980년 공군 조종사였던 김모씨는 최근 한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5·18 사나흘 뒤 500파운드 폭탄 2발을 F5-E/F기에 싣고 광주로 출동할 준비를 했다.고성능 기관포와 폭탄으로 무장하고 비상대기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증언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