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재청, 18일 개토제…2개월 간 탐색조사 중심 진행
'황성옛터'로 널리 알려진 개성의 고려왕궁터 만월대가 남북 공동발굴로 600여 년 만에 모습을 드러낼 전망이다. 문화재청은 오는 18일부터 2개월 동안 개성 만월대에서 남북역사학자가 공동으로 발굴조사를 실시한다고 15일 밝혔다. 공동 발굴조사는 18일 개토제 이후 약 2개월 동안 만월대 유적의 서북지구(약 1만평)를 대상으로 유구의 분포양상을 확인하기 위한 탐색조사 중심으로 진행된다. 이번 발굴조사에는 남북역사학자협의회와 북한 민족화해협의회가 주관하고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와 발굴전문기관, 대학관계기관 전문가들로 구성된 10여 명의 조사단과 북측의 연구자들이 참여할 예정이다. 발굴결과는 보고서 형식으로 정리·발간되며 향후 만월대 복원을 위한 기초 학술자료로 활용된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역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유적을 남북이 공동으로 발굴한다는 의미를 넘어 학술적으로도 중요한 성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만월대는 개성 송악산 남쪽 기슭에 위치한 고려시대 궁궐터로 고려 태조2년(919)에 창건된 이래 공민왕10년(1361) 홍건적에게 소실되기까지 고려왕조와 흥망성쇠를 함께 한 주요 유적지다. 동서 445m, 남북 150m 대지에 조성된 궁성 안에는 정전인 회경전을 비롯해 장화전, 원덕전, 건덕전, 만령전 등 전각과 각종 건축물이 계단식으로 배치돼 있고 13개의 성문과 15개의 궁문이 있었다고 전해진다. 이번 발굴조사는 지난 17, 18차 남북장관급회담에서 개성 역사지구의 세계문화유산 등록 및 보존관리에 남북이 협력키로 합의한 데 따라 추진됐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