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대기오염의 주요 원인물질인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회수율은 높지만 화재 위험이 낮고 운영비도 저렴한 VOCs 제거기술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VOCs는 악취를 유발하며 오존을 발생시키는 환경오염물질로 지구온난화에도 영향을 미친다. 사람이 접촉 혹은 흡입을 할 경우 암을 유발한다.
이 기술은 주유소, 인쇄소, 페인트 도장시설 등 VOCs를 배출하는 중소규모 사업장에 적용하기 적합하기 때문에 생활 속 VOCs 저감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VOCs를 제거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활성탄은 수많은 미세 기공을 갖고 있어 배출가스가 통과할 때 VOCs를 흡착해 제거하는데 시간이 지나면 흡착 능력이 떨어지져 활성탄을 교체하거나 재생해 사용해야 한다.
그러나 중소규모 사업장에서는 교체비용 부담이나 유지관리 어려움 때문에 수명이 다한 활성탄을 계속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오염물질이 제대로 걸러지지 않고 배출될 수 있다.
또한 활성탄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대형 설비로 높은 온도나 압력을 가해 활성탄에 흡착된 VOCs를 회수해야 하는데 중소규모 사업장에서는 이러한 설비를 설치하거나 운영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기존의 스팀에 의한 열탈착 활성탄 재생기술을 대체하여 VOCs를 흡착한 활성탄을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도 효과적으로 재생할 수 있고 흡착된 VOCs를 95% 이상 회수할 수 있으며 활성탄을 약 100회 이상 재생해 쓸 수 있다.
활성탄에 고온의 증기나 압력을 가하는 대신 60~90℃ 온도에서 압력을 낮춰 VOCs를 탈착하는 방법을 사용해 보일러나 가스압축기 같은 대형 설비가 불필요하고 화재 위험성도 없다.
이번 기술을 적용하면 5년 간 설치 및 운영에 드는 금액을 기존 열탈착 방법 대비 약 1억 2000만원 정도 절감할 수 있어 기존 대비 70% 수준의 설치 및 운영비가 소요된다.
또한 이번 개발기술을 통해 현장에서 활성탄을 직접 재생해 사용할 수 있으며 100회 재생에도 약 99%의 VOCs 제거효율을 유지한다. 이는 반복재생에도 불구하고 일정 수준의 흡착성능을 유지한다는 의미다.
이 기술은 올해 4월 환경부로부터 녹색기술 인증을 획득했으며 ㈜동일캔바스엔지니어링과 기술이전 계약을 올해 5월 체결해 내년 상업화를 추진하고 있다.
환경부는 이번 기술을 적용하면 5년간 설치 및 운영에 드는 비용을 1억2,000만원 정도 아낄 수 있어 기존 대비 30%의 비용을 절약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 기술은 지난 4월 환경부로부터 녹색기술 인증을 받았으면 환경부는 오는 2018년을 목표로 상업화를 추진한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