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최근 한·미 연합 훈련을 비난하면서 미국 전략 무기들의 한반도 출격 횟수를 구체적으로 언급하고 있다. 자신들의 항공기 탐지·식별 능력을 과시하려는 의도로 분석되지만, 우리 정부는 "정확도가 상당히 떨어진다"고 했다.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1일 "(미국이) 3월 28·29·30일에는 매일 B-1B 핵전략 폭격기 편대들을 남조선 상공에 끌어들여 우리에 대한 야간 핵 선제타격 훈련까지 벌였다"며 "3월 15~30일 기간에 B-1B 편대들을 5차에 걸쳐 연 9대나 출격시켰다"고 했다. 최근 들어 B-1B와 관련한 세 번째 보도였다. 북한이 '죽음의 백조'라 불리는 B-1B 출격일로 지목한 날짜는 다섯 개(3월 15·22·28·29·30일)다. 이 중 한·미 군 당국이 공식 발표한 것은 하나(22일)뿐이다.
군 관계자는 "북한의 주장을 일일이 확인해주긴 어렵지만, 최근 B-1B가 수시로 한반도에서 폭격 훈련을 하는 것은 사실"이라며 "하지만 북한이 출격 횟수(5회)는 비슷하게 맞췄는데 출격 시점, 훈련 내용, 출격 규모를 잘못 파악하고 있다"고 했다. B-1B가 스텔스 기능에 초점이 맞춰진 항공기가 아니어서 당연히 레이더에 포착될 수밖에 없지만, 북한의 식별 능력이 그만큼 높지 않다는 얘기다.
북한의 항공기 탐지·식별 능력은 F-35B를 통해 더욱 적나라하게 드러났다. 조선중앙통신은 "(3월 21~24일) 미제 침략군은 스텔스전투기 F-35B를 10차에 걸쳐 연 20여 대나 동원해 우리 중요 대상물들을 가상한 정밀타격 훈련에 열을 올렸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군 관계자는 "사실과 동떨어진 내용"이라며 "나흘간 6~8대가 투입됐다는 국내 언론 보도를 보고 대충 짐작해 발표한 것 같다"고 했다. 국책연구소 관계자는 "F-35B는 레이더 피탐면적(RCS)이 골프공 크기(0.0013㎡)라 기존 레이더로는 탐지 자체가 안 된다"며 "북한이 국내 언론 보도(25일) 후 닷새 만에 반응한 것만 봐도 출격 사실을 전혀 몰랐단 얘기"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