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초시 고향사랑기부와 함께하는 행복한 연말 이벤트
속초시는 2025년 연말을 맞아 고향사랑기부제 참여 확대와 기부자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하기 위한 4개의 특별 이벤트를 11월 24일부터 12월 31일까지 순차적으로 진행한다.이벤트 기간 기부자는 고향사랑e음을 통해 속초시에 10만 원 이상 기부한 후 온라인 네이버폼을 통해 응모할 수 있다.이벤트별로 네이버폼이 별도로 운영되며 시 누리집 ...
북한이 최근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시험발사에 성공한 데 이어 ‘사변적 조치’를 위협하고 나선 가운데, 국제 사회의 지지를 등에 업은 박근혜 대통령의 대북 압박 발언이 이어졌다.
박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수석비서관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정부와 군을 향해 “진화하는 북한의 핵무기와 미사일 능력에 대응해서 실질적인 대비책을 마련하라”, “국제사회와 협조해서 강력한 대북 제재의 압박을 시행하라” 등을 주문해 사실상 북핵 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모든 방안을 동시에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분명하게 밝혔다.
박 대통령의 발언은 최근 연이은 대북 강경 기조를 계속 이어간 것이지만 북한 정권을 향해 ‘자멸’, ‘응징’, ‘압박’ 등 공격적인 단어와 표현이 총망라돼 사용됐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북한의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을 언급할 때에도 직함 칭호를 생략한 채 “김정은은 체제 유지를 위해 북한 주민을 혹사시키고 핵 개발에 모든 역량을 집중해 갈수록 경제난을 심화시키고 있다”고 비난했다. 박 대통령은 “북한 인권개선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급한 인도적 현안이자 한반도 평화통일을 열 주춧돌이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지난 8·15 광복절 경축사에서 북한 당국의 간부들과 주민들을 향해 통일 이후 동등한 대우를 약속하며 “새로운 한반도 통일 시대를 열어가는 데 동참해달라”고 촉구한 바 있다. 그 일주일 뒤 박 대통령은 을지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주재하면서 “(북한이)심각한 균열 조짐을 보이면서 체제 동요의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고 주장, 북한 붕괴론이 재차 떠오른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