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전날 21일에 이뤄진 방사포 5발 발사 소식을 전하면서 “남조선 작전지대안의 주요 타격 대상들을 사정권 안에 두고 있는 위력한 대구경 방사포의 실전배비(배치)를 앞둔 최종 시험사격”이라고 전했다.
'신형 대구경 장거리 방사포'(300㎜ 신형 방사포)는 군사분계선(MDL) 인근에 배치하면 남한 중부권 이남 지역까지 사정권에 들어간다. 북한은 이에 따라 300㎜ 방사포는 곧 실전에 배치될 전망이다.
지난해 10월 노동당 창건 70주년 기념 열병식에서 처음 모습을 드러낸 300㎜ 방사포는 최대 사거리가 200㎞에 이른다. 우리 군이 추정한 170㎞보다 30㎞가 더 길다. 이 방사포의 탄두에는 인명 살상 반경이 넓은 고폭탄과 건물 파괴용 이중목적탄(DPICM) 등을 장착할 수 있다.
수도권을 위협하는 기존 240㎜ 방사포(최대사거리 90㎞)를 최전방 지역에 배치해 놓은 북한이 300㎜ 방사포를 또 개발한 것은 중부권 이남 지역의 핵심시설을 겨냥한 것으로 분석된다.
군 당국은 단·중거리미사일 못지않게 위협적인 300㎜ 방사포를 요격하는 수단 확보에 고심하고 있다.
음속의 5배로 저공 비행하는 300㎜ 방사포를 요격할 수 있는 우리 군의 무기는 아직 존재하지 않는다. 북한의 미사일을 파괴하는 체계인 '킬 체인'을 2020년대 중반까지 구축할 계획이지만 차량에 탑재되어 은밀하게 신속히 기동하는 이 방사포를 발사 전에 요격한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또 우리 군이 보유한 에이태킴스(ATACMS)의 경우 단거리 탄도탄인 에이태킴스 블록1A 사거리가 300㎞이지만 명중률은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kon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