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천성 이상을 갖고 태어나는 아기가 전체 출생아 1만명당 57.56명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전체 출생아 200명당 1명이 넘는 수준이다. 보건복지부는 16일 2002년도 출생아와 사산아를 대상으로 ‘선천성 이상아 조사’를 실시한 결과, 27개 주요 선천성 이상을 가진 출생아는 총 2857명이며 발생률은 출생아 1만명당 57.76명인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27개 주요질환 중 발생률이 가장 높게 나타난 질환은 손가락이나 발가락이 정상보다 많은 다지증으로 417건(출생아 1만명당 8.43명)이 발생했고, 입술갈림증(361건), 입천장 갈림증(316건), 팔롯사징후(233건), 다운증후군(224건)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임산부의 연령이 높아지면 높아질수록 선천성 이상아 발생률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5세 미만 임산부의 이상아 발생률은 39.17명인데 비해 25세이상 30세 미만 임산부는 48.16명, 30~35세 미만의 임산부는 65.11명이었다. 35세 이상 임산부의 이상아 발생률은 106.6명으로 최고 수준을 나타냈다. 성별로 살펴보면 대부분의 주요 선천성 이상아 발생률은 남아가 63.41명으로 여아(51.55명)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밖에 출생아의 몸무게가 많을수록, 그리고 만삭아(37주 이상)일수록 선천성 이상아 발생률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02년에 발생한 사산아 3144명 중에서 선천성 기형아는 236명(사산아 1만명당 750.64명)이었다. 이중 다운증후군이 52건으로 발생률(165.39명)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저출산 시대에 건강한 아기에 대한 출산 기대가 높아짐에 따라 우리나라의 선천성 이상아 발생 빈도와 발생률을 파악하기 위해 처음 조사를 실시했다"면서 "조사결과는 선천성 이상아 관리 등에 적극 활용될 것"이라고 밝혔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