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연재 울산명예사회복지공무원 동구단장, 지역아동센터 초등 졸업선물 지원 성금 375만 원 전달
동구청[뉴스21일간=임정훈]하연재 울산명예사회복지공무원 동구단장은 11월 24일 동구청을 방문해 지역아동센터 초등학교 졸업선물 지원을 위해 성금 375만 원을 동구청장에게 전달했다.
이번 후원금은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초등학생들의 졸업을 축하하고 격려하기 위한 취지로 마련됐으며, 동구는 전달된 성금을 통해 각 기관에 필요...
|
취업포털 커리어에서 직장인 413명을 대상으로 ‘자신이 감정 노동자라고 생각하는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먼저 ‘평소 업무와 관련하여 감정 노동자라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직장인의 83.05%가 ‘그렇다’고 대답했다. ‘아니다’는 16.95%에 그쳤다.
그렇다면 직장인들은 어떤 면에서 자신이 감정 노동자라고 느끼고 있을까?
직장인의 35.85%가 ‘상사나 동료 앞에서 솔직한 감정을 숨기고 일할 때’라고 답했다. 이어 ‘고객 또는 거래처와 통화할 때’ (24.53%), ‘열악한 근무조건에도 불구하고 견디며 일할 때’ (22.64%), ‘자신의 기분과 상관없이 즐거운 표정을 지어야 할 때’ (9.43%), ‘출근할 때면 늘 두렵고 불안함을 느낄 때’ (7.55%)라는 답변이 있었다.
‘현재 감정 노동으로 인한 질병 또는 증상을 겪고 있는가’라는 물음에는 전체 응답자의 59.65%가 ‘그렇다’고 대답하여 과반수를 넘겼다. ‘아니다’는 40.35%에 그쳤다.
감정 노동으로 인해 가장 많이 나타나는 질병/증상은 ‘우울증’ (39.53%)인 것으로 나타났다. 흔히 직장인들의 고질병이라 불리는 ‘수면장애’는 30.23%로 근소하게 뒤를 이었다. 뒤로 ‘체중감소/체중증가’ (16.28%), ‘직업과 관련된 병’ (13.95%)이라는 답변이 이어졌다.
‘감정 노동으로 인한 극심한 우울증은 산재 대상이라고 생각하는가’에는 ‘그렇다’가 89.47%를 차지해 압도적인 차이를 보였다. ‘아니다’고 답한 비율은 10.53%이었다.
과연 무엇이 직장인들을 우울증 및 각종 질병에 빠뜨리고 있을까? ‘직장에서 감정 소모가 크게 되는 이유는 무엇 때문인가’라는 질문과 관련하여 ‘경직된 조직문화’가 21.04%로 가장 높은 답변을 받았다. ‘열악한 근무조건’이 19.3%, ‘의사소통의 문제’가 17.54%, ‘업무량 과다’가 15.79%, ‘대인관계의 어려움’이 12.29%, ‘인력부족’이 10.53%, ‘불규칙적인 교대업무/업무시간’이 3.51%로 뒤를 이었다.
한편 설문에 참여한 직장인 중 65.52%가 ‘중견/중소기업’에 재직 중이라고 대답했다. ‘대기업’은 15.52%, ‘공기업/공공기관’은 10.34%, ‘스타트업/벤처기업’은 5.17%, ‘외국계기업’은 3.45%로 중견/중소기업 구직자들이 가장 감정 노동에 시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