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가 2016년도 국비 11조 3천억원 확보를 위한 본격적인 활동에 나섰다.
올해는 88고속도로 확장(성산·도계), 국도 4차로 확장 등 15개 SOC사업이 마무리 되는 시점이라 어려움이 예상되고 있다.
하지만 탄소성형 첨단부품산업 클러스터 조성 등 신규사업의 국책사업화에 주력하고 계속사업에 대해 국가투자예산이 집중 투자 되도록 최선을 다한다는 방침이다.
주요 SOC 사업 중 계속사업을 살펴보면 고속도로는 상주·영덕간 고속도로 2,045억원, 포항·울산간 고속도로 500억원, 포항·영덕간 고속도로 640억원, 경부고속도로 영천·언양간 확장 1,701억원 등이다.
철도는 동해남부선 복선전철화(포항∼울산) 4,500억원, 동해중부선 철도부설(포항·삼척) 6,500억원, 중앙선(도담∼영천) 복선전철화 3,500억원, 중부내륙 단선전철 부설(이천·문경·동대구) 3,000억원 등도 포함했다.
봉화·울진간 국도 확장 1,000억원, 기계∼안동간 국도 확장 500억원, 구미 국도대체 우회도로 1,000억원, 울릉공항 건설 150억원 등도 확보하기로 했다.
경북형 문화산업 육성을 위한 사업으로는 3대문화권 개발사업 30개 사업 3,232억원, 황룡사, 신라왕궁, 동궁과 월지 복원·정비 등 51개사업 3,782억원 등이다.
창조경제 실현을 위한 주요 사업으로는 미래창조형 인프라 구축을 위해 휴먼ICT 중소기업창조생태계기반구축 268억원, 방사광가속기 공동이용연구지원 724억원, 양성자가속기연구센터 운영 190억원 등 39개 사업 7,699억원 등이다.
환경산림 기반확충 및 농·축산분야 FTA에 대응한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국가산채클러스터 조성 45억원 등 환경산림분야 38개사업 6,502억원 경상북도 말산업특구조성 100억원 등 농·축산업분야 11개사업 2,449억원 등을 포함한다.
이와 함께 대규모 국가 투자예산의 지속적인 확보를 위해 대규모 신규사업을 조기에 발굴해 자체적으로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용역을 시행하고, 오는 6월 각 부처에 예비타당성 조사 대상사업으로 신청할 계획이다.
현재 한국개발연구원(KDI)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에서 예비타당성 조사가 진행 중인 경북도 사업 총 7건에 6조 5,878억원(국비 6조 3,539억원)과 예타 대상사업 신청을 준비하고 있는 사업 12건 16조 7,614억원(국비 16조 4,209억 원)등 총 19개 사업 23조 3,492억원(국비 22조 7,748억 원)이 반드시 반영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관련 부처와 기획재정부에 지역 국회의원실과 합동으로 수시로 방문, 당위성을 설명하는 등 다각적인 노력을 펼쳐 나갈 계획이다.
이밖에도 본부장은 주낙영 행정부지사, 총괄반장은 김장주 기획조정실장, 실·국장을 반장으로 구성한 국가투자예산 확보전담T/F팀(16개반 84명)을 가동해 국가정책에 부합하는 다양한 시책개발과 국가재정운용계획단계부터 체계적으로 대응키로 했다.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16일 열린 보고회에서 국가적으로 재정위기에 처해 있지만 경북도 균형발전을 위해서는 국가투자예산 확보가 최우선 도정과제다며 특히 실질적으로 도민에게 혜택이 가는 신규사업 예산확보와 계속사업의 집중투자의 중요성을 인식해 시장·군수, 지역 국회의원, 경북도청 간부가 직접 챙겨야 한다고 말했다.
자세한 문의는 경상북도 예산담당관실(053-950-3701)로 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