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하천 함께 가꿔요” …중구, ‘1사 1하천 살리기’ 합동 정화활동 실시
(뉴스21일간/노유림기자)=울산 중구(구청장 김영길)가 11월 13일 오후 3시 척과천변에서 ‘2025년 하반기 1사 1하천 살리기’ 합동 정화활동을 실시했다. 이번 행사에는 김영길 중구청장과 박경흠 중구의회 의장, 지역 내 기업·공공기관·단체 14개 관계자 등 300여 명이 함께했다.이날 참석자들은 하천 주변에 버려진 쓰레기를 수거하고 생태...
|
|
어린조개류 개량조개 1cm급 50만마리, 바지락 0.5cm급 50만마리 방류를 통하여 조개류의 자원조성 실증연구가 추진된다.
제주특별자치도 해양수산연구원(원장 이생기)에 따르면 제주연안에서 점차 사려져 가는 조개류의 자원회복을 위하여 올해 7월부터 종자생산에 착수한 곽지 지역의 개량조개와 오조리 바지락 100만마리를 생산․방류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조개류 인공종자 생산은 지난 2012년에 성공하여 2년간에 걸쳐 지금까지 도내 개량조개 주 서식지인 곽지 과물해변과 바지락 주 서식지인 종달과 오조리 마을어장에 어린 개량조개와 어린 바지락 110만마리를 방류하였다.
올해도 초기치패 살포효과 실증연구를 위한 침착기 초기 치패를 개량조개 1,000만 개체, 바지락 500만 개체를 8~9월에 조개류 주 서식지인 곽지 과물해변과 종달리 마을어장에 대량으로 방류하였고 이번에 방류하는 조개류는 약 4개월간 키운 개량조개 치패로 1cm급 50만마리, 바지락은 0.5cm급 50만마리로 성장한 치패를 방류하여 침착기 초기치패와 어린치패의 방류효과를 분석할 계획이다.
해양수산연구원 관계자는 침착기 초기치패와 어린치패의 방류효과 분석을 통하여 침착기 초기 치패의 결과가 어린치패보다 좋을 경우에는 인력절감 및 예산손실을 줄일 수 있고 천만마리 단위로 대량 방류가 가능하여 자원회복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자원회복에 따라 생태체험어장 활성화 및 고령화 추세의 잠수어업인의 소득증대에 기여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