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민의 마음을 헤아려 올해엔 김장의 양을조금 늘려보자.

*먹음직스러운 총각김치 밥 한그릇은 뚝딱해치울 것 같다.
아무리 미사일이 빠르다 한들 어찌 세월에 비할까? 어느새 11월(7일)이 '입동'이다. 24절기 중 열아홉 번째 절기인 겨울이 시작된다고 하여 입동(立冬)이라고 한다. 그러나 올해의 입동은 수능(修能)과 겹침으로 하여 다소 빛을 잃었다는 느낌이다.
그렇긴 하되 오늘 수능이 끝나면 각 가정에선 본격적으로 김장을 담가야 할 터다. 김장을 마치고 나야만 비로소 겨울 채비를 하였다 할 수 있으니 말이다. 주지하듯 올 농사는 처음으로 태풍 하나 안 찾아온 덕분에 모든 농사가 고른 풍작을 맞았다.
그러나 모든 사물이 그러하듯 농사의 풍년은 풍선효과, 즉 풍선의 한 곳을 누르면 다른 곳이 불거져 나오는 것처럼 하나의 문제를 해결하는 대신에 또 다른 문제가 새로 생기는 것처럼 농산물 가격의 폭락을 불러왔다.
따라서 농가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하지만 천만다행으로 올해는 각 가정에서 김장을 많이 담글 예정이라고 한다.
어제 시내 중심가에서 차를 운행하던 중 제과점을 지나치게 되었다. 그러자 올해도 역시 나11월 11일의 이른바 '빼빼로데이'를 겨냥한 기획 상품들이 제과점의 진열대 부분을 장악하고 있는것이 시야에들어온다.
11월 11일은 사실 한 해 동안 농사를 짓느라 노고가 극심했던 우리 농민들을 위로하는 '농업인의 날'이다. 예부터 우리나라는 농업이 근간이었던 국가였다. 그래서 농사가 흉작이면 임금님조차 머리를 조아리며 자신의 부덕의 소치라며 하늘을 향해 용서를 빌었한다.
나잇살이나 먹은 나와 같은 50대 이상의 필부치고 고향이 농촌이 아닌 사람은 드물 것이다. 하지만 우리의 농촌은 계속하여 피폐일로다. 때문에 피땀 흘려 농사를 지어봤자 남는 건 고사하고 빚이나 안 지면 다행이라는 푸념하는 농부들을 흔히 볼 수 있다.
고로 이런 때일수록 정부와 국민이 일심동체로 농민들을 위로하고 더불어 신토불이 농산물만을 이용하는 지혜를 발휘해야 한다.
올해 배추의 가격이 많이 하락함에 따라 아예 산지에서부터 절임배추를 주문하는 가정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보인다.
김장을 담그는데 있어 사실 가장 힘들고 손이 많이 가는 부분이 바로 배추의 절이기 작업이다. 농촌의 어려움 상쇄 차원에서라도 올해는 각 가정에서 김장의 양을 대폭 늘렸으면 하는 바람이다.
요즘은 (김치)냉장고의 용량이 대형화 추세인지라 작년보다 김장으로 배추김치를 열 포기이상만 더 담가도 수용이 넉넉할 터다. 빼빼로데이와 같은 상업적이고 작위적인 '무슨 무슨 데이'는 이제부터 잊자!
대신에 11월 11일은 우리 국민의 주식인 신토불이 농산물을 생산 공급하는 원천이자 일꾼들의 1년 노고를 잠시나마라도 위로하는 '농업인의 날'이라는 걸 잊지 말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