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쟁의 배경엔 경제적 이익 노리는 집단 있어..
가장 처음으로 냉전이 현실화된 지역. 60여년간 휴전 상태이며 계속해서 대치를 이어가고 있는 곳. 바로 한반도의 이야기다. 한반도는 여전히 전쟁중이며, 미국과 소련의 세력 다툼 에 의해 희생된 곳이라고 할 수 있다.
핵 확산 금지 조약의 재평가 회의가 있을 때마다 세계의 핵 보유 국가들은 핵무기를 전면 폐기하겠다고 약속했지만 21세기에 들어와서 새로운 핵 실험은 계속되고 있다. 이 중 절반 이상은 미국이 실시했다.
인류의 역사는 전쟁의 역사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전쟁은 왜 일어나는 것일까. 그 배경엔 늘 경제적 이익을 얻는 집단이 있었다. 세계 곳곳에서 일어나는 내전도 대체로 경제적 이익이 달린 전쟁인 경우가 많다.
전쟁의 규모는 산업화의 발달과 맞물려 더욱 커지기 시작했다. 많은 나라들이 식민지를 얻기 위해 전쟁을 시작했고 여기엔 인간의 창의성과 과학이 적극적으로 쓰였다.
제 2차세계대전은 ‘전체의 이익’을 내세운 침략전쟁이었고 이후 미국과 소련으로 나뉘어진 냉전은 패권 쟁탈전이었다고 할 수 있다.
전쟁에서 가장 큰 이익을 보는 곳은 군수 산업체와 무기 수출국이다. 무기 수출의 규모는 실로 광대한데, 주로 미국, 영국, 프랑스, 중국, 러시아 등 강대국들이 주도하고 있다.
한편 무자비한 전쟁에 반대하는 시위도 계속 이어져왔다. 개인적인 구호 활동에서 연대 활동으로 이어진 평화 운동은 조금씩 그 세력이 커지며 영향력을 키워왔다. 2차대전이 끝난 후 세계인들은 세계 평화 옹호 대회를 열어 원자폭탄 금지 및 재무장 반대를 선언했다. 이어 1950~60년대에는 비동맹 운동을 일으켜 제국주의적 국제 질서에서 벗어나자고 주장했다.
1982년 83년엔 미국 핵무기의 유럽 배치 반대 시위가 이어졌다. 여기에 100만 명이 넘는 이들이 참가했고, 이후 비동맹국 정상 회의와 군비 축소 특별 총회가 개최되더니 1987년, 지상 발사 중거리 핵전력 협정이 미국과 소련 간 맺어졌다. 평화를 외치는 민중의 힘이 국가 정책을 바꾼 일이었다.
1999년 11월엔 미국 중심의 세계화를 반대하는, 반세계화 투쟁이 열렸다. 그리고 2003년 2월 15일엔 미국의 이라크 침공에 반대하는 시위가 세계 곳곳에서 동시 다발적으로 열렸다. 이날 1000만 명이 넘는 이들이 시위에 참여한 것으로 집계되어 평화 운동의 학 획을 그은 날로 기록되고 있다.
완전한 평화의 날은 올 것인가. 군수 산업체를 주도하는 소수가 제 욕심보다는 전 인류의, 인간다운 삶을 먼저 생각한다면 그 날은 그리 멀리 있지 않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