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18일 오전 10시 33주년 5·18기념식에 참석하여 행사 마지막 순서로 '임을 위한 행진곡'을 합창하였다.
특히 눈길을 끈 것은 정부여당의 황우여 대표의 ‘임을 위한 행진곡을’ 합창하는 모습이 많은 시민들의 보훈처와의 갈등을 조금을 해소하는 모습이었다.
5·18민주화운동 33주년 기념식은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 민주묘지에는 각계각층의 인사 3,000여명이 참석하였다.
국가보훈처와 행사 참석자 등은 기념식 개최 전 임을 위한 행진곡 합창을 두고 갈등을 빚어왔다. 국가보훈처가 임을 위한 행진곡을 제창이 아닌 합창으로 결정하면서 이날 광주광역시의회 등 일부는 기념식에 불참했다.
박 대통령은 대통령의 자격으로는 첫 방문하여 인사말을 통해 “그동안 수차례 5.18 묘역을 방문했지만 감회가 새롭다고 하면서 5.18민주영령 들의 민주화가 대한민국의 민주화의 전환점이 되었다”고 하였다.
5.18기념에 대통령의 마지막 참석은 이명박 전 대통령은 취임 첫해인 2008년 이후는 참석하지 않았다.
반면 노무현 전 대통령은 임기중 매년 참석하여 5ㆍ18 민주영령 감사와 존경을 표하였다.
5.18기념식에 불참 단체들은 제3묘역에서 별도의 행사를 갖고 참석 시민들과 주먹밥을 나누며 80년 5월 그날을 기념하는 행사를 진행하였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