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북한의 3차 核실험 도발과 관련하여 국가/공공기관 및 주요 기반시설 전산망을 대상으로 하는 사이버공격 가능성 등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여 2월 12일 17:00부로 사이버위기 '관심' 경보를 발령한다고 밝혔다.
※ 사이버위기 경보단계는 ‘정상→관심→주의→경계→심각’으로 구분
□ 정부는 2월 12일 방송통신위원회, 행정안전부, 국방부, 국가정보원 등 10개 부처 담당관 참석 아래 ‘사이버위기 평가회의’를 개최하여 경보 상향발령 여부 및 각부처의 대응활동 등을 검토하였는데
o 국가 전산망 교란행위 및 인터넷서비스 제공사업자를 목표로 하는 해킹 또는 DDoS공격 등 인터넷 침해사고 발생여부를 24시간 모니터링하고
o 침해사고 발생시 해당기관 및 인터넷서비스 제공사업자, 백신업체 등 유관기관과의 신속한 대응체계를 구축·운영하는 한편, 民/官/軍 사이버위협 합동대응팀을 중심으로 주요기반시설에 대한 특별 점검 및 비상근무체제 유지 등의 총력 대응체제를 유지하기로 하였다.
o 民/官/軍 사이버위협 합동대응팀은 지난해 1월 방통위/국방부 등 18개 기관/민간 전문가 참여하에 국정원에 설치/운영중으로 북한의 사이버도발 징후를 24시간 감시하고 유사시 관계기관과 합동으로 신속하게 대처하는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 아울러, 정부는 인터넷 이용자들이 자신의 PC가 DDoS 및 해킹 공격을 유발하는 좀비PC가 되지 않도록 출처가 불확실한 이메일 등을 열람하지 말고 윈도우와 백신 프로그램을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고 수시 점검해 주길 당부하였다.
□ 한편, 기술적인 지원 또는 도움이 필요한 인터넷 이용자들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서 운영하는 보호나라 홈페이지(http://www.boho.or.kr)를 방문하거나, KISA e콜센터☎118에 전화하여 전문 상담직원의 도움을 받을 수 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