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직 인수위원회 기자실에 대한 ‘북측의 해킹설’이 한마디로 해프닝으로 끝나는 어처구니없는 일이 발생했다.
정보당국으로부터 연락을 받은 임종훈 인수위 행정실장이 이를 언론에 전달하는 과정에서 오해가 있었다는 것이다.
윤창중 대통령직인수위원회 대변인은 17일 브리핑을 통해 “인수위원회의 인수위원과 직원들은 국가정보통신망을 사용하고 있는데 반해서, 기자실은 상업용 인터넷망을 이용하기 때문에 외부의 해킹시도 등 보안에 취약한 것이 사실”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윤 대변인은 “보안당국에서는 인수위원회 기자실이 외부의 해킹시도에 취약한 만큼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기자 여러분들이 백신프로그램을 사용하고, 개인 패스워드도 자주 교체하도록 당부해줄 것을 인수위원회 행정실에 요청해왔다”고 덧붙였다.
윤 대변인은 “이러한 내용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일부 오해가 있었던 것이 사실인 것 같다”며 “오해가 있었던 부분에 대해서는 인수위 (임종훈)행정실장이 개별적으로 설명할 것”이라고 구체적인 내용은 임 실장에게 넘겼다.
임종훈 행정실장은 “보안당국 담당 부서 책임자로부터 (기자실은)일반 상업용 인터넷망을 이용하기 때문에 해킹에 굉장히 취약하다는 전문가 집단의 판단이 있다는 연락을 받았다”며 “기자들이 개인적으로 백신프로그램을 설치하고, 패스워드를 자주 교체하도록 당부해달라는 부탁을 받았다”고 밝혔다.
임 실장은 “이런 부탁을 전달하는 게 쉽지 않아 대변인 실장에게 당부를 했고 실장이 이를 정식 브리핑이 아니고 구두로 설명하는 등 3단계 의사전달이 있었는데, 그 과정에서 예를 들거나 하는 과정에서 일부 오해가 있었지 않나 생각된다”고 한발 물러섰다.
임 실장은 이어 “인수위원회의 입장에서는 행정실이든 인수위원회든 기자실에 대한 해킹이 있었는지 없었는지는 저희들이 알 수가 없고 보안당국에서만 알고 있는 사항”이라고 묘한 여운을 남겼다.
그러나 ‘해킹의 흔적이 발견됐다는 말을 정보당국으로 전해 들었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대해 임 실장은 “(북측 해킹 여부와 관련한) 그런 말은 없었다”고 답을 해 대통령 인수위 기자실에 대한 북측 해킹설은 메시지 전달과정의 해프닝 사건으로 끝났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