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 조상들은 유독 후손들에 대한 가르침을 덕목으로 삼은 것 같다.나무한 그루를 심고 과실하나를 선택하여 사용하는 데도 위치와 방위, 뜻하는 의미를 중요하게 새겨서 사용하였다. 나무는 오랜 옛날부터 신성함,생명력,지혜와 풍요의 상징으로 여겨져 왔으며 신화와 민담에서 많이 발견되는 신수(神樹)는 천계와 인간세계를 잇는 매개 체로 인간의 경배의 대상이 되어왔다, 당산나무는 기원의 대상이 되고 수호신으로 여겨왔으며 인재(人材) 나 재목(材木)이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나무는 인격을 나타내는 말로도 쓰이고, 집안의 기둥이니 대들보이니 하는 말에서와 같이 정신적 지주로도 비유되고있다.
불교에서의 나무는 부처님께서 보리수 아래에서 깨달음을 얻었다 하여 “깨달음”“지혜”“수행”을 상징한다,그냥 나무가 아니고 그자체가 진리를 현현( 顯現) 선지식으로 활용하도록 지남(指南)이 되고 있는 것이다
한국인의 통과의례에서 결혼의 의례중 폐백과, 조상을 기리는 제사에 꼭 쓰이는 과실이 있으니, 시대와 지역과 가가례(家家禮)에 따라 차이는 있어도, 폐백(幣帛)음식에는 대추,밤,은행 등을 이용하며, 지방에 따라 다르지만, 닭이나 육포, 구절판, 대추고임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제사 때 에는 대추, 밤, 감을 삼실과(三實果)라 하여 쓰는게 보통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중요하게 치는 덕목중의 하나가 아무리 간소하게 치르는 제사라 할지라도 삼색 과일을 필수적으로 올린다. 만약, 이 세 가지가 빠진 제사는 다시 지내야 한다는 말이 나올 정도 이며 과실이 쓰이는 의미를 유교전통의 합리성과 흥미롭고 교훈적인 선조의 지혜로 보아 되새겨 보는 것도 오늘을 사는 지혜가 되지 않을까 싶다,
먼저, 대추는 조선시대의 결혼식과 제사에도 사용되었고, 지금의 결혼식과 제사에도 사용되고 있는데 결혼식때 시부모가 신부의 치마에 던져주는 것과 제사때 대추를 진설하는 것은 자식을 많이 낳으라는 뜻이며 그 씨가 통씨여서 곧 절개와 순수한 혈통을 뜻하며, 많은 열매를 맺기 때문에 다산을 의미한다. “꽃이 피면 반드시 열매를 맺고 떨어진다“는 것을 사람에 비유하여 반드시 후손을 낳고, 그것도 많이 낳아야 한다”라는 의지의 표현으로 상징되며 대추나무는 꽃 하나가 피면 반드시 열매 하나를 맺는 특성이 있다. 대추씨가 하나기 때문에 영의정을 상징한다고 하나,그 보다는 꽃이 필 때 비바람이 쳐도 꽃으로만 지는 법이 없이 꼭 열매를 맺기 때문에, 이를 통해 후손들이 강인한 정신력으로 시련을 견디어 나가라는 뜻이다.
두 번째, 밤(栗)의 의미를 보자, 모든 식물의 경우 씨앗을 심어 싹이 트고 자라면 나무를 길러낸 씨앗은 썩어 없어지지만, 밤톨은 썩는 것이 아니라 뿌리에 붙어 달려 있다가 나무가 자라서 씨앗을 맺어야만 씨밤이 썩는다,그래서 밤은 자기와 조상의 영원한 연결을 상징하고 밤톨이 싹이 터서 열매가 열리도록 씨앗의 자양분을 끊임없이 공급하는 것을 모성애에 비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