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8년 국립대학교 가운데 처음으로 총장직선제 시발점이 되었던 전남대학교마저 총장직선제 폐지여부에 기로에 서있다.
교육과학기술부가 8월 말까지 총장직선제 폐지 여부에 대한 결론을 요구하고 있고, 검찰 수사로 8월 17일 취임 예정이던 차기 총장 1순위 박창수 후보가 사퇴하면서 총장직선제 문제는 복잡한 상황을 맞이하고 있다.
전남대학교 교수평의회 의장에 의하면 “교수가 89%, 직원 11.1%, 학생1.1% 의견을 반영하는 총장직선제 찬.반 투표를 전자무기명 투표 방식으로 7월 26일부터 8월 2일까지 투표를 실시한다”고 하였다.
전남대학교 총학생회 김민규 부회장은 26일 총장직선제와 관련한 기자회견을 통해 다음과 같은 내용을 알리고자 한다고 하였다.
<<이러한 문제가 발생된 근본적인 원인은 교육과학기술부(이하 교과부)에 총장직선제 폐지 협박에 있다고 전했다. 교과부가 전국의 모든 국공립대학에 법인화를 추진하다 여의치 않자 서울대만 법인화 시키고 나머지 국공립대학들은 총장직선제 폐지를 통해 법인화를 추진하려 하는 사실은 교과부가 스스로 말을 안했을 뿐이지 교육문제에 조금만 관심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다 알고 있는 사실이라며, 여기에 가장 먼저 총장선거를 치른 전남대학교가 교과부의 협박에 굴하지 않고 끝까지 총장직선제를 고수하자 권력의 칼을 휘두르면서 검찰을 이용해 전남대 대학사회 전반을 흔들려고 하는 의도가 다분히 느껴진다고 전했다.
하지만 이런 모든 빌미를 준 보다 명백한 책임은 우리대학의 총장선거를 총 책임지는 총장임용추천위원회(이하 총추위)의 선거관리 무능에 있다며 “우리대학 총장후보선출규정에서는 각 교수연구실 방문과 같은 내용의 선거운동은 일체 금지되어 있고 결국 그 누가 후보가 되었든 다 걸려들 수밖에 없었다” 라고 전했다. 선거전부터 학생투표권 방해 등으로 총장선거 전반을 무책임으로 일관했던 총추위가 이번 사태를 미리 만든 것이었다.
또한 총학생회와 중운위는 평의원회가 진행하는 총장직선제폐지 찬반을 묻는 투표에서 학생들은 철저히 배재되었다면서 총장선거는 교수, 교직원, 학생에게 있는데 교직원에겐 투표에 대한 의사를 물으면서 학생들은 물어보지도 않았다면서 평의원회를 강력히 규탄했다.
그러면서 이번 투표 결과에 상관없이 총장직선제는 유지되어야 된다고 전했으며, 현재의 제도가 아닌 대학 구성원 모두가(교수, 교직원, 학생, 비정규교수, 청소노동자 등) 공정하고 민주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총장직선제가 되어야 된다며 제도 개선을 요구했다>>고 발표예정이다.
전남대학교를 사랑하는 지역주민들은 광주의 유일한 국립대학인 전남대학이 하루빨리 정상화되어 지역의 명문대학으로 거듭날 수 있어야 할 것이며,
학생이 주인이 되고 학교 구성원 모두가 만족하는 결정이 될 수 있도록 소통하고 서로의 의견을 존중하여 총장직선제에 새로운 지표를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