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이 지난해 11월 한·일정상회담에서 일본 측에 동해의 명칭을 ‘평화의 바다’ 또는 ‘우의의 바다’로 부르는 방안이 어떠냐는 의견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져 파문이 일고 있다.청와대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대통령은 당시 아베 신조 총리에게 한·일 간에 현재 놓여 있는 현안들을 대국적 차원에서 풀어나가기 위해 인식과 발상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차원에서 동해를 ‘평화의 바다’ 또는 ‘우의의 바다’로 부르는 게 어떠냐고 말했다”고 전했다.이 관계자는 “그러나 이것은 공식 의제는 아니었다”며 “이후로 한·일간에 동해 명칭을 ‘평화의 바다’로 바꾸는 문제에 대해 전혀 논의된 바도 없고, 일본이 반응을 보이지 않아 현재 논의하고 있지도 않다”고 말했다.이와 관련,일본 지지통신은 8일 노 대통령이 이같은 의견을 제시했지만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즉석에서 거부했다고 보도했다.이 통신은 동해를 일본이 ‘일본해’로 부르는 반면 한국측은 ‘동해’로 주장하면서 국제기구 등에 명칭 변경을 요구하는 움직임을 거듭해왔으나 ‘평화의 바다’로 바꿀 것을 정상회담에서 제기하기는 처음이라며 노 대통령의 제안이 한·일 관계에 미묘한 영향을 줄 것 같다고 전했다.◆“일본에 빌미 줄 수 있다” 반발한편 노 대통령의 이같은 제안에 대해 야당과 시민단체는 일제히 반발했다. 한나라당은 논평을 통해 “노 대통령의 발언은 역사적으로 동해 표기가 옳다는 정부의 일관된 입장을 훼손할 수 있다”며 해명을 촉구했다. 전 세계를 대상으로 ‘동해’ 이름 되찾기 운동을 펼치고 있는 사이버 민간외교사절단 ‘반크(VANK)’도 “반크를 비롯해 네티즌들이 세계 여러 지도를 조금씩 바꿔 나가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시점에서 일본이 노 대통령 발언을 악용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