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립중앙도서관, 미국 국립문서기록청 소장 문서 수집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NARA)에서 소장하고 있는 한국 관련 기록물을 매 달 수집하여 공개하고 있는 국립중앙도서관이 한국전쟁과 관련된 비밀문서와 '국가안보회의 기록물' 등 중요문서를 새롭게 공개했다. '국가안보회의 기록물' 중 한국 관련 기록물, 거제도 포로수용소의 기록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헌병사령관실 기록물'로 나뉘어 공개된 이번 자료들에는 한국 현대사와 관련된 소중한 자료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미국의 대한반도 정책 입안 및 시행과 관련해 가장 중요한 결정 기관인 '국가안보회의' 기록물 중 한국관련 부분에는 1950년 한국전 당시부터 카터 행정부에 이르기까지의 주요 사건들이 시기별, 주제별로 나뉘어 있으며, '헌병사령관실 기록물'에는 흑백사진들도 포함되어 있어서 당시의 상황을 생생하게 묘사하고 있다. 수집된 자료들은 원문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해 국립중앙도서관 홈페이지에서 공개하고 있으며, 아직 구축중에 있는 자료는 국립중앙도서관 해외영인자료실(동북아자료실 내)에서 CD-ROM으로 이용할 수 있다. 매 달 수집되는 최근자료의 목록은 국립중앙도서관 홈페이지(http://www.nl.go.kr)의 <자료찾기(해외수집기록물)> 이용안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국가안보회의 기록물' 주요 내용 △한국전 직후, 한국 상황과 관련 소련의 향후 동태에 관한 미국의 입장과 행동을 분석 보고한 1급 비밀문서(1950.7.1.) NSC 73 및 NSC 73에 관련된 배경 문서 △한국전 정전 협상에 따른 향후 한국 내 상황을 예측 분석한 1급 비밀문서(1953.4.2.) NSC 147 △한국전 정전협정에 따른 즉각적인 미국의 전술 : 1급 비밀문서(1953.7.7.) NSC 154/1 △정전협정 체결 후 한반도에서의 미국의 목표: 1급 비밀문서(1953.6.25.) NSC 157 △주한미군 철수 관련 카터 대통령 지시문서(PD, Presidential Directive)(1977.5.5.) NSC 12 △주한미군 철수 관련 카터 대통령 검토각서(PRM, Presidential Review Memorandum) (1977.1.26.) NSC 13 등의 주요문서가 있다. ◆ '헌병사령관실 기록물' 주요 내용 △중국군 및 북한군 포로의 수용소 내 공산주의 활동 및 수용소 내 조직도. 미 육군성 심리전 수행국이 조지워싱턴 대학에 의뢰하여, 한국전쟁 당시 포로수용소 내의 중국군 및 북한군 포로들의 활동을 관찰한 보고서 △수용소 내에서 자살한 북한 인민군에 대한 조사 보고서 및 사진 △거제도 제18 포로수용소 내 북한군 제1대대 포로 대표인 변영주가 라우시 수용소장에게 보낸 포로대우 관련 제네바 협정 위반사실에 대한 자필 항의 서한(1952.8.3) △거제도 제18 포로수용소 D 대대 소속 인민군 포로 일동이 포로들에 대한 정당한 대우를 요청하고 조직적인 탈출 기도가 없었음을 주장하는 내용을 담은 수기 편지 원본. (미국산 캔 용기 포장지 뒷면에 연필로 작성) △북한군에게 포로로 잡힌 딘 소장의 통역을 맡았던 인민군 보위부 소속 이규현의 딘 소장에 대한 한글 자필 자술서 원본 등의 주요문서가 있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