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부, 영어 · 수학과 교육과정 수정 고시안 발표
초·중·고교 영어교육이 실용영어 중심으로 바뀌고 수학교육은 심화과정이 대부분 삭제돼 쉬워진다.또 초등 문자언어 도입시기도 3학년 2학기로 한 학기 앞당겨진다. 교육인적자원부는 현행 제7차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수정 보완하고, 단위 학교차원의 수준별 수업을 내실화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수학, 영어과 교육과정 수정 고시안을 25일 발표했다. 발표에 따르면 수학교육은 현실 적합한 수준별 수업 방안 구축, 학습내용의 적정화, 수학적 사고력 신장, 수학의 가치 제고와 정의적 측면의 강조에 중점을 두었고 영어교육은 실용적이고 자연스런 영어 교육 강화, 학습의 효율성 제고를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수학교육과정은 대부분의 심화과정을 삭제하여, 수학학습의 난이도를 하향화하고 학습량을 조절하였으며 학습내용간 연계성 강화를 위해 내용요소를 통합 구성하였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 3학년의 ‘거울상’을 5학년 ‘대칭’의 내용과 연계하여 간단히 지도할 수 있도록 하였고, 고등학교 1학년의 ‘두 원의 위치관계’를 ‘피타고라스 정리’가 학습되지 않은 중학교 1학년에서 학습하게 함으로써 ‘접선의 길이 구하기’ 등 여러 응용문제를 다루지 않게 하여 간단히 지도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밖에도 학년간 이동이 되는 많은 내용들이 난이도 하향화 또는 학습량 감축을 꾀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또한 긴요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학습요소를 과감하게 삭제하여 학습량 경감을 도모하고 기본개념의 학습에 충실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삭제된 내용들은 기본 개념에 대한 응용과정에 해당되는 경우가 많아 난이도 하향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도 중학교에서의 도형의 닮음의 활용 및 원의 성질 등에 대한 증명을 약화시켰고, 고등학교 2, 3학년의 학습부담 경감, 공통과정으로서의 적합성 등을 고려하여, ‘수학Ⅰ’에 있던 ‘순열과 조합’의 필수적인 기본 내용만을 정선하여 고등학교 1학년에서 학습하도록 하였으며, 국제 동향 및 미래사회의 필요성 등을 감안하여 기존의 부등호 기호인 <=, >= 를 ≤, ≥로 수정하고, ‘최빈값’, '중앙값’ 등의 용어를 도입하였다. 영어교육과정은 학년간·학교급간 연계를 고려하여 각 학년에서 새로 사용할 수 있는 신출 어휘수를 조정하였다. 특히, 학교급간(초등학교 → 중학교, 중학교 → 고등학교)의 차이를 축소함으로써 영어 교과에서 상급학교 진학에 따른 학생들의 학습 부담이 상당히 완화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음성 언어(듣기·말하기) 중심의 초등영어 교육을 강조하되 문자 언어(읽기, 쓰기)와의 균형적 학습을 도모하기 위하여, 초등영어 문자(알파벳) 노출 시기를 현행 4학년 1학기에서 3학년 2학기로 한 학기 앞 당겼다. 교육인적자원부는 수학, 영어과 교육과정 수정 고시에 이어 새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를 개발해, 2009년도부터 초등 1,2학년, 중학교 1학년, 고등학교 1학년에 적용할 예정이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