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 목표치와 일치…작년보다 10% 이상 늘 듯
올 들어 지속되고 있는 경기회복세와 정부의 일자리 창출 사업에 힘입어 33만~40만 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이 같은 전망치는 정부 목표치인 35만~40만 개에 육박하는 수준이며, 작년에 달성한 29만9000개보다 10% 이상 확대된 것이다. 삼성경제연구소는 13일 '경기회복기 일자리 창출력 분석과 2006년 일자리 창출 전망' 보고서에서 올해 일자리 창출 폭을 부문별 취업유발계수와 성장률을 근거로 계산한 결과 이 같이 밝혔다. 보고서에서는 올해 소비 성장률은 4.9%, 투자와 수출 성장률의 경우 각각 3.9%, 8.3%로 예상된다며 각 부문의 고용계수로 소비와 투자, 수출 10억 원당 각각 24명, 16.1명 15.7명의 취업을 유발하는 것으로 계산했다. 보고서는 올해 경제성장률이 4.8%로 작년보다 0.8% 포인트 높아지면서 일자리 창출 폭도 지난해 29만9000개를 웃돌 것이라며 특히 취업유발 계수가 큰 소비와 투자 부문의 성장률 개선이 기대된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그러나 외환위기 이후 전반적으로 경기와 고용상황 사이의 상관관계가 약해져 과거 경기 확장기 시기에 거뒀던 고용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분석했다. 지난 72년 3월부터 98년 8월까지를 1~6 순환기로 봤을때, 이 기간 중 경기 확장기에 일자리 창출 규모는 평균 49만4000개를 기록했고 경기 수축기에는 26만9000개에 불과해 20만개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반면, 98년 8월부터 현재까지(7~10 순환기)는 경기 확장기와 수축기에 평균 일자리 창출 규모가 각각 29만2000개, 28만5000개로 큰 차이가 없었다. 이는 외환위기 이후 고용창출력이 낮은 수출 위주의 정보기술(IT) 산업이 경기 확장을 주도한 반면, 고용창출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서비스업 부문은 가계 버블 붕괴로 계속 부진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다. 예를 들어 제조업의 경우 외환위기 전의 경기 확장기에는 평균 16만9000개의 일자리가 늘어났으나 이후 확장기에는 오히려 평균 1만5000개가 감소했다. 보고서는 경기 변동에 따라 일자리 창출력 제고가 쉽지 않기 때문에 좋은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는 기업들의 투자확대가 시급하다면서 특히 서비스업은 고부가가치 비즈니스 서비스, 문화·관광 등 감성산업을 육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섬유 등 전통산업의 고부가가치화와 농업, 재래유통, 영세소기업 등 취약부문의 구조조정을 통해 중장기적으로 안정적인 고용창출력을 확보해야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