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이 50여일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정국의 파고가 한층 거세지고 있다.
한나라당 내분사태는 지난 20일 당 3역과 각 모임 대표들이 회동을 갖고 당 위기 수습을 위한 비상대책위 구성 방안 등을 논의했지만 비대위 성격을 놓고 이견이 여전한 가운데 최병렬(崔秉烈) 대표의 거취가 뜨거운 감자로 남아있고 구당모임과 영남의원간 총선인식 차이로 여전히 예측하기 어려운 국면이 계속되고 있다.
여기에 총선이 점차 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간 양강구도로 흘러가면서 위기의식을 느낀 민주당 내부의 동요도 심상치 않다.
당내 현안에 대해 목소리를 자제해온 소장파 리더격인 추미애(秋美愛) 의원이 "분당 핵심책임자들에 대한 공천 불가"입장을 밝히며 호남 중진 및 당 공천심사기구를 정면 겨냥하면서 당내 갈등이 증폭될 조짐이다.
장성민(張誠珉) 청년위원장은 이날 강운태(姜雲太) 사무총장의 밀실공천 의혹을 제기하면서 조기 선대위 체제 구성을 강력히 촉구한 반면, 김성남 공직후보자격심사특위 민간위원이 기자회견을 갖고 공천 과정에 대한 소장파의 문제제기를 반박하는 등 소장파와 주류간 내홍은 돌이킬 수 없는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지지율 1위를 달리고 있는 열린우리당은 겉으로는 각 당의 내분과 동요를 이탈층 흡수의 기회로 삼겠다고 말하고 있지만, 내심은 현 정국상황의 변화가 썩 달갑지만은 않다는 생각인 듯 하다.
우리당의 한 중진 의원은 "한나라당 내분의 향방에 따라 우리당의 총선전략에 일대 수정이 불가피할 지도 모른다. 남의 불행이 나의 행복이 되는 상황은 아니다"고 토로했다.
한나라당의 현 내분상황이 당개혁을 위한 진통으로 여론에 비쳐질 경우 열린우리당의 개혁 선점이 무위로 돌아갈 수도 있을 뿐 아니라 자칫 정국의 주도권 마저 빼앗길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특히 한나라당 사태의 진전여하에 따라 정국은 총선 직전 대대적인 지각변동 국면으로 몰릴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점에서 총선 정국의 불투명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다.
한나라당의 소장파와 중진들이 최 대표의 `정치적 완전 퇴진′을 기정사실화 시키고 전대 추진도 계속 논의키로 한데 대해 칩거중인 최 대표가 정면 반격카드로 맞설 경우 내홍이 장기화되면서 대분열로 갈 수 밖에 없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수도권과 충청권의 당 지지율이 바닥까지 추락한 상황에서 이대로 선거를 치를 수 없다는 상황인식도 한나라당 내분 사태의 한 원인이기 때문에 일단 분열 수순으로 접어들면 걷잡을 수 없을 것이라는 얘기다.
또한 민주당의 경우에도 소장파와 호남중진간 갈등에서 당의 대주주격인 호남중진들이 일대 반격에 나설 경우 당내 입지가 좁아진 소장파 일부 의원 및 총선 당선가능성이 낮다고 판단하는 수도권.강원 지역 의원들의 탈당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 경우 정국은 `개혁 연합′대 `보수 연합′의 구도로 재편될 가능성까지 점쳐지면서 엄청난 회오리 속으로 빨려들어갈 개연성이 있다.
그러나 한나라당의 내홍사태가 비대위 또는 선대위 구성으로 일단 봉합이 되고, 민주당도 조기 선대위 체제로 전환하게 되면 신4당체제의 정국 구도는 총선까지 그대로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아직까지는 우세한 편이다.
총선을 불과 50여일 앞두고 뚜렷한 주도세력도 없는 상황에서 탈당이나 합당의 모험을 감행하기는 어렵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이들의 결단을 주저하게 만드는 이유가 될 것으로 보인다.
- TAG
-